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EFFECTS OF AMPLIFICATION WITH DIFFERENT PRIMERS ON MICROEUKARYOTIC DIVERSITY IN THE SURFACE LAYER SEDIMENTS OF THE EAST CHINA SEA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與湖沼 = Oceanologia et limnologia Sinica
ISSN 0029-814x,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YU, Kai-cheng,WANG, Jian-xin,TAO, Shi,LIU, Ming-hua,JIANG, Ran,LIU, Xue-zhu,HUANG, Bei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3쌍의 일반 프라이머(ITS1/ITS4, EF3/EF4, NS1/NS4)를 이용하여 이가 동중국해 대륙붕 DH-13 위치에서 채집한 표층 퇴적물의 진핵 미생물(microeukaryote)에 대한 증폭 특이성 및 종다양성의 차이를 검사하였다. 323개의 유효한 클론체를 대상으로 OTU 분류(classification) 및 다양성 분석을 수행한 결과, NS1/NS4 프라이머로 증폭하여 얻은 라이브러리의 종다양성이 가장 높았고 EF3/EF4이 그 다음으로 높았으며 ITS1/ITS4가 가장 낮았다. NCBI 비교 및 분류학적 연구를 통하여 확인한 결과, 우점종은 원생생물계였으며 그중에는 사족충문(Cercozoa, 전부 OTU의 36.4%를 차지함), 와편모조강 (Dinophyceae, 14.2%를 차지함), 부등편모조류문 (Stramenopiles, 7.4%를 차지함), 섬모충문 (Ciliophora, 6.3%차지함) 등이 포함되었다. 그 외, 일부 진균계 즉 자낭균문(Ascomycota, 7.4%를 차지함) 및 호상균문(Chytridiomycota, 6.3%를 차지함) 등도 검출되었다. 원생생물에서 NS1/NS4 프라이머는 종다양성을 가장 많이 나타낼 수 있었고 사족충문, 와편모조강 및 부등편모조류문을 증폭하는데 적합하였으며 또한 특유의 유글레나류(Euglenozoa), 은편모조식물문(Cryptophyta) 및 포자충문(Apicomplexa)에 증폭시켰다. ITS1/ITS4는 쌍편모조류 및 섬모충문을 증폭하는데 적합하였고 EF3/EF4는 사족충문을 증폭하는데 적합하였다. 진균생물에서 ITS1/ITS4는 자낭균문을 증폭하는데 적합하였고 EF3/EF4는 자낭균문 및 호상균문을 증폭하는데 적합하였으며 NS1/NS4는 호상균문을 증폭하는데 적합하였다. 계통발생학적 분석 결과, 3쌍 프라이머의 원생생물 계통수에서의 유사한 염기서열은 대부분 해양 환경 샘플에서 확보한 것이지만 진균의 염기서열은 각각 육지 토양 진균 및 해양 진균에서 확보한 것이었는데 이는 3쌍의 프라이머가 해양 퇴적 환경 내 원생 미생물의 분자생태학적 분석에 더 적합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4014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microeukaryote,diversity,primer,18S rDNA,ITS,진핵 미생물,다양성,프라이머,18S rDNA,I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