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징거미새우과(Caridea: Palaemonidae)는 새우류에서 가장 큰 종류이다. 본 논문은 징거미새우과의 계통 진화 관계를 연구하기 위해 유전자은행(Genbank)에서 징거미새우과의 2종 아과(Palaemoninae, Pontoniinae)에 속하는 14속 30종 징거미새우의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 16s rRNA 유전자 서열 단편을 검색하였다. 그리고 딱총새우과(Alpheidae)의 Alpheus gracilipes를 외부 개체군으로 하여 Palaemoninae와 Pontoniinae 사이의 계통 발육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획득한 466개 위치에서 변이가 발생한 위치는 263개이고, 간단 정보 위치(parsimony informative sites)는 213개였다. DNA 서열 분석 결과, Pontoniinae 아과의 Manipontonia와 Palaemoninae 아과의 유전적 거리(0.211)는 징거미새우과와 Pontoniinae 아과의 유전적 거리(0.245)에 비하여 가까웠다. Pontoniinae 아과의 Manipontonia는 베이지안 추론(Bayesian inference, BI)과 근연접합법(Neighbor-joining methods, NJ)으로 구축한 계통수(phylogenetic tree)에서도 징거미새우과에 속하는 Palaemoninae와 같은 종류에 속하였으며, 또한 Manipontonia 아과의 개체군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었다. Manipontonia와 Palaemoninae 아과 Urocaridella의 형태가 유사한 특성에 근거하여 Manipontonia의 징거미새우과에서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재평가 필요성이 있다. Pontoniinae 아과의 Manipontonia를 징거미새우 아과에 분류할 필요성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Palaemoninae와 Pontoniinae를 각각 서로 다른 종류로 분류하여 계통수에서 징거미새우과와 관계가 밀접한 개체군으로 간주하여야 하며, 징거미새우과를 2가지 아과로 분류하는 관점을 지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