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PHYLOGENETIC RELATIONSHIP AND TAXONOMIC STATUS OF FOUR DAPHNIA SPECIES BASED ON 16S RDNA AND COⅠSEQUENCE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水生生物學報 = Acta hydrobiologica Sinica
ISSN 1000-3207,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XU, Min,ZHANG, Hai-jun,DENG, Dao-gui,WANG, Wen-ping,ZHANG, Xiao-li,CHA, Ling-s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4-01-01
초록 본 논문은 이미 보고한 4가지 물벼룩속(Daphnia) 종류(Daphnia carinata, D. hyalina, D. pulex, D. magna)를 계통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키트(kit) 방법으로 4가지 물벼룩의 유전체 DNA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특이적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4가지 물벼룩속 종류의 16S rDNA와 COⅠ 유전자 서열을 PCR 증폭하였으며, 또한 4가지 물벼룩속 종류 유전자 서열과 유사성이 높은 유전자은행(GenBank)의 같은 종류 서열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4가지 물벼룩속 종류의16S rDNA와 COⅠ 유전자 종간 유사성은 각각 85.56%와 80.67%였으며, 염기 내의 A+T 함량은 G+C 함량보다 높았다. COⅠ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중국 차오후 호수(Lake chaohu)의 D. carinata는 유전자은행의 Daphnia similoides AB549199와 유사성이 99%이고, 차이성이 0.4%~0.9%였다. 16S rDNA와 COⅠ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중국 차오후 호수의 D. hyalina는 유전자은행의 Daphnia galeata와 유사성이 아주 높았다. 16S rDNA와 COⅠ 유전자를 기반으로 구축한 NJ 계통수와 베이즈 계통수(bayes tree)로 분류한 결과는 거의 일치하였다. 연구 결과, 중국 차오후 호수의 D. carinata와 D. similoides는 같은 종류이고, D. hyalina는 D. galeata에 속하여야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본 연구 과정에서 핵 유전자(nuclear gene)에 관한 연구가 깊지 못하므로 중국 차오후 호수 물벼룩속의 분류학적 위치는 한층 더 연구할 필요가 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583833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Daphnia,16S rDNA,COⅠ gene,Systematic classification,물벼룩속,16S rRNA,COⅠ 유전자,계통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