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전통 그림자극 만석승희의 구성과 문화콘텐츠화 방안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韓國民俗學= The Korean folklore
ISSN 1229-6953,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고상현,김기정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1-01-01
초록 nbsp; nbsp;전통문화는 현재와 미래 문화콘텐츠의 원천이자 보고이다. 이미 콘텐츠 소재가 고갈된 미국과 유럽의 제작자들은 최근에 풍부한 전통문화를 지닌 동양의 전통에 관한 연구와 소재 발굴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 창의적이면서도 친근감을 느낄 수 있는 소재에 대한 갈증은 우리도 역시 마찬가지여서 문화콘텐츠와 관련된 많은 사람들은 오늘날로 되살려올 수 있는 전통문화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전통 무형문화유산의 하나인 그림자극이자 인형극인 만석승희를 계승, 발전시키기 위해 만석승희의 구성과 문화 콘텐츠화 방안을 살펴보았다. 먼저 만석승희에 대한 통시적 접근을 통해 만석승희의 역사적 #x2024;종교적 #x2024;콘텐츠적 가치를 검토하였으며, 현재 만석승희를 이루고 있는 형성소를 무형과 유형의 콘텐츠로 분류하여 대상화하였다. 그리고 이 콘텐츠들을 수용자별과 문화콘텐츠 별로 개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수용자별로는 만석승희가 불교를 소재로 하는 만큼 종교적으로는 불자를, 그림자극이자 인형극이라는 측면에서는 고령자와 어린이층을 대상으로 나누어보았다. 문화콘텐츠별로는 설화 등의 스토리텔링화, 등장인물과 공예품의 캐릭터화, 애니메이션화, 음원의 음성콘텐츠화, 모바일 어플 개발, 무용이나 가무악극 등 공연콘텐츠로의 활용 등 여섯 가지로 제시하였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6986367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그림자극,만석승희,만석중놀이,연등회,문화콘텐츠,문화산업,무형문화유산,Manseokseunghee,Manseokjungnori,Yeon Deung Hoe,Cultural Contents,Shadow Play,Culture Industry,Intangible Cultural Prope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