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논문 기본정보

DISTRIBUTION OF BENTHIC FORAMINIFERAL FAVOCASSIDULINA FAVUSIN WESTERN PACIFIC DURING EARLY QUATERNARY AND ITS IMPLICATIONS

논문 개요

기관명, 저널명, ISSN, ISBN 으로 구성된 논문 개요 표입니다.
기관명 NDSL
저널명 海洋地質與第四紀地質 = Marine geology quaternary geology
ISSN 0256-1492,
ISBN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

저자, 소속기관,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초록, 원문UR,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논문저자 및 소속기관 정보표입니다
저자(한글) HUANG, Bao-qi,WANG, Na,CHEN, Meng-sha,DU, Jiang-hui,NIU, Yao-cheng
저자(영문)
소속기관
소속기관(영문)
출판인
간행물 번호
발행연도 2015-01-01
초록 본 논문에서는 제4기 초기(2 500~1 600ka) ODP 807, 1143 및 1146 위치에서 서식한 저서성 유공충 Favocassidulina favus의 함량 변화를 비교한 결과, 해당 종은 서태평양 ODP 806 위치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최고 함량은 15%에 도달하였다. 남중국해 ODP 1143 및 1146 위치에서 확보한 제4기 초기 퇴적물 내 해당 종의 함량은 7% 이하로 비교적 적었으며, 또한 점차 증가하는 특성 및 불연속성을 보였다. 즉 2,500~1,600ka 기간 동안, 남중국해 퇴적물에서 해당 종은 주로 빙하기일 때에 나타났고 간빙기일 때에 결핍하였다. 약 2,100~1,950ka 및 1,830~1,750ka 기간 동안, 남중국해 퇴적물에서 해당 종은 발견되지 않았다. 기존의 연구 자료를 분석하고 서태평양 ODP 807, 1146 및 1208 위치에서 나타난 저서 유공충의 산소 및 탄소 동위원소를 비교한 결과, 남중국해에서 해당 종의 분포는 서태평양 북부에서 유래한 심층수(Pacific Deep Water, PDW) 및 남부에서 유래한 심층수(Upper Circumpolar Deep Water, UCDW)의 통제 범위 변화(즉 해당 종이 남중국해에 들어온 제4기 초기 빙기 기간 동안 남부에서 유래한 UCDW의 발전 및 확산)의 영향을 받았으며 ,또한 그 전선(front)은 최소로 북위 20°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 UCDW 내에서 서식하는 F. favus는 UCDW의 확산과 더불어 남중국해에 들어갈 수 있었지만 간빙기 및 2,100~1,950ka와 1,830~1,750ka 기간 동안에는 UCDW 전선의 영향을 받는 범위가 20°N 이남으로, 이때 PDW의 전선은 여전히 적도 이남의 해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으며, 그 해수 성질은 F. favus의 생존에 적합하지 않았으며 특히 남중국해에서 해당 종은 사라졌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NART&cn=NART7311099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DDC 분류,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추가정보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DDC 분류
주제어 (키워드) the western pacific,deep water circulation,benthic foraminifera,early Quaternary,심층수 순환,저서성 유공충,서태평양,제4기 초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