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320 |
양측성 안구운동이 조현병 환자의 얼굴 재인에 미치는 영향 |
이나현,김지웅,임우영,이상민,임상현,권혁찬,김민영,김기웅,김승준 |
2016 |
2016-08-23 |
3319 |
Action observation training enhances upper extremity function in subacute stroke survivor with moderate impairment: a double-blind, randomized controlled pilot trial |
Kim, Chang-Heon,Bang, Dae-Hyouk |
2016 |
2016-08-23 |
3318 |
과제지향적 상지 운동과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균형,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비교 |
송귀빈,박은초 |
2016 |
2016-08-23 |
3317 |
스텝박스와 탄력밴드를 이용한 하지근력강화운동이 지역사회 노인의 균형능력과 하지근력에 미치는 영향 |
김두섭,최임순,김선엽 |
2016 |
2016-08-23 |
3316 |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체간조절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에 미치는 효과 |
장준영,김선엽 |
2016 |
2016-08-23 |
3315 |
밸런스 패드와 모래에서의 균형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
송귀빈,박은초 |
2016 |
2016-08-23 |
3314 |
물리치료 윤리적 가치관에 대한 비교 분석: 물리치료학과 학생과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
안청좌,김명철,이민수,김승균 |
2016 |
2016-08-23 |
3313 |
코어 운동을 포함한 변화단계별 훈련이 척추측만증 환자의 Cobb각과 몸통 길이에 미치는 영향 |
김미선,이명희,김익환 |
2016 |
2016-08-23 |
3312 |
삼차원 가상현실 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시공간적 보행변수에 미치는 효과 |
|
2016 |
2016-08-23 |
3311 |
코어 안정화를 위한 운동의 효과 비교: 복부 드로우 인 기법, 최대 호기, 케겔 운동 |
김지선,김양현,김은나,김채린,서동권 |
2016 |
2016-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