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기관명 |
광주과학기술원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A201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광물의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한 특수 현미경으로 얇게 연마한 시료편에 편광을 통과시켜 그 광학적 성질을 조사하기 위한 특수한 현미경. 구조상 다른 광학현미경과 다른 점은 2개의 편광장치 즉 편광자(偏光子:polarizer)와 검광자(檢光子:analyzer)를 가지고 있으며 재물대(載物臺:stage)가 회전할 수 있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필요에 따라 편광자의 하부에 집광기(集光器:condenser) 대물경 상부에 제2의 대물렌즈(Bertrand’s lens)를 장착할 수 있다. 편광자와 검광자는 보통 편광면을 서로 90°로 어긋나게 놓이며 재물대에 시료가 없을 때는 편광자를 통과한 직선편광이 검광자를 통과할 수 없어 시야가 어둡다. 그러나 광학적으로 이방성(異方性)을 갖는 시료를 놓으면 직선편광이 시료를 통과하여 원편광(圓偏光)이 된다. 이것이 검광자를 통과함으로써 서로 수직인 직선편광이 어느 광로차를 가지고 합성되어 시야에 그것에 의한 간섭상(단색광인 경우는 명암의 상 백색광인 경우에는 간섭색으로 빛깔이 붙은 상)이 나타난다.편광현미경 관찰은 코어에 함유된 골재의 암종과 광물종류 구성비율 골재입자의 형상·분포 콘크리트내의 공극과 기포의 수치·분포상태시멘트내의 혼합물 등을 알수 있다. 특히 알칼리 골재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반응성골재가 함유되어 있는지 없는지 혹은 중성화가 어디까지진행되어 있는지 등을 정밀하게 조사할 때에 유효하다. 알칼리 골재반응에서는 반응성 암석의 안산암과 흑규석의 확인 반응성 물질의 화산유리 미소석영 칼세드니 등의 확인과 정량 반응생성물과 균열상태 등을 파악할 수 있다. 탄산화에 대해서는 칼사이트의 관찰에 의해서 진행영역을 알 수 있다. 또한 시멘트 클링커 광물의 앨라이트 벨라이트 등의 확인과 결정의 크기 그리고 시멘트에 혼합된 고로슬래그미분말과 석회석성분 등의 검출에도 유효하다.편광현미경은 이전에는 암석 광물학 지질학 지구화학 등에 사용되었지만 현재에는콘크리트 공학 재료학(도자기 유리 인공결정 등) 생물학 의학 고고학 등 여러 분야서 사용되고 있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101/.thumb/20110127195801.jpg |
장비위치주소 |
광주 북구 오룡동 광주과학기술원 1 광주과학기술원 정보통신 A동 5층 513호 |
NFEC 등록번호 |
NFEC-2011-01-138624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25080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