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기관명 |
서울대학교병원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A201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Leica DMI3000 B는 세포의 형광 표지 분자 관찰 생세포의 형태 관찰 생세포 변화 양상에 따른 타임랩스(time-lapse 시간차) 이미징; 고속 다중형광 광학 절편 관찰 미세 조작 실험법 등을 포함하여 모든 투과광 방식을 지원 할 수 있게 제작된 도립 현미경입니다. 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의 표준 특징인 인체공학적 접안 튜브의 시야각은 사용자들이 편안하게 시료를 관찰할 수 있게 디자인 되어 있습니다. 또한 접안 튜브의 V 형태의 디자인은 관찰 도중 대물대에 올려져 있는 시료를 확인할 때 더욱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라이카 마이크로시스템즈의 견고한 본체는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여 형광 시료 관찰 등 정밀한 연구에 더욱 정확한 결과를 제공 합니다.기본 도립현미경 본체에 생세포의 위상차를 관찰 할 수 있는 대물렌즈가 기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시료 관찰에 이용되는 광원은 12V 100W 할로겐 램프가 별도의 박스에 장착되어 밝은 이미지를 장시간 사용하여도 현미경과 시료에 안정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형광 시료를 관찰하기 위해 장착 된 외부 광원 EL6000은 별도의 빛 경로 조절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함께 구성된 형광 필터 시스템은 녹색광 파란광 빨간광 영역대를 각각 통과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추가적으로 연노란 빛의 할로겐광을 태양광같은 효과를 줄 수 있게 Daylight 필터가 구성 되어 있습니다.위상차 기능을 이용하여 생세포의 형태 관찰에 사용 됩니다. 대물렌즈의 배율을 변화하여 위상차 기능과 함께 세포 내 존재하는 거대 분자의 대략적인 형태도 함께 관찰하는데 사용 합니다. 형광 기능을 활용하여 핵을 염색하여 볼 수 있으며 핵 염색 외에 세포 내에 원하는 물질을 다양한 형광 물질로 염색하여 분포 여부를 확인 하는데 사용 됩니다. 또한 원하는 물질들이 서로 근접해 있는지 분리되어 분포 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colocalization 연구에 사용 합니다. 세포 배양 과정 중 간단히 세포의 관찰을 통하여 세포의 생장을 확인 하는 기본적인 연구에 사용 됩니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407/.thumb/20140717152836781.JPG |
장비위치주소 |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학교의과대학 28번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임상약학동 17동 3층 304 |
NFEC 등록번호 |
NFEC-2014-07-190216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43203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