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기관명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주반사경부는 3점 보스를 갖는 링을 제작하여 주경에 결합한 후 플렉셔로 베젤과 결합되도록 설계하여 반사경제작을 용이하게 하였다. 플렉셔 체결방식은 반사경에 가해지는 변형을 흡수하여 광학계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3점 보스링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소재는 열팽창계수가 주반사경의 제작물질과 가장 근사한 소재를 선택한다. 베젤은 경량화 및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복합재 소재와 허니콤구조로 제작된다. 주반사경과 체결된 베젤은 9개의 컴펀세이터에 의하여 경통과 결합된다. 주반사경 베젤은 3개의 외부 플렉셔에 의하여 버스와 결합된다. 베젤 뒷면은 렌즈 및 전자부를 결합하기 위한 인서트를 만들어 준다. 고해상도 카메라의 구조부는 광학계 및 전자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고 품질의 영상을 생산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며 극한 우주환경(Low Earth Orbit)하에서 열진공으로 인한 아웃겟싱 현상을 최소화하고 열순환으로 인한 카메라의 과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우수한 열전도율을 갖으며 경량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질량대비 강성계수가 크고 열팽창계수가 낮은 복합재료 소재가 부반사경부의 주요부품인 스파이더 베플 및 지지구조물의 제작에 널리 사용되며 경통 및 주반경부의 지지 구조물인 베젤은 복합재 소재와 허니콤 구조로 제작되어 경량이면서 강하게 주반사경 및 카메라 구조부 전체를 지지한다. 현재 세계적으로 생산되어 우주/항공 구조물의 제작에 사용되는 복합재 소재를 제조화사 종류 및 특성별로 조사하여 데이터 베이스화 하여 카메라 구조부의 설계시 operational요구조건 및 열진공의 우주환경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소재를 선택하는데 활용한다. 부반사경 및 주반사경을 열 및 기계적 외력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하면서 경량으로 베젤에 결합하기 위하여 3점 보스를 갖는 링을 제작하여 부반사경 및 주반사경에 본딩에 의하여 결합한 후 외부 플렉셔의 지지를 받아서 베젤에 고정된다. 부반사경 및 주반사경에 3점보스를 일체로 가공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이 있음으로 반사경의 열팽창계수와 가장 근사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소재인 인바나 티타늄소재를 사용하여 3점 보스를 갖는 링을 제작하여 반사경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기술적 및 구조적인 안정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경통은 9개의 컴펀세이터에 의하여 베젤에 결합되며 컴펀세이터는 미티어링 구조물의 하나로서 각 서브 시스템들이 결합되어 고해상도 카메라의 최종성능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부반사경과 주반사경사이의 초점거리를 정확히 보정하는데 필수적인 부품이다. 각 부품들 간의 결합은 미세한 보정을 위하여 본딩 및 볼트에 의하여 체결된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309/.thumb/20130913102648425.jpg |
장비위치주소 |
대전 유성구 어은동 4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밀대형위성시험동(대전본원) 1층 0111(테스트홀9) |
NFEC 등록번호 |
NFEC-2009-11-077410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8717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