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라이다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Optech |
모델명 | ILRIS-HD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10-04-13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F202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연안 지형 및 방재 연구에 있어서 지형 및 지물에 대한 정밀하고 정확한 3차원 측량 자료를 확보하는 것은 가장 기본이면서도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조차가 수m에 이르며 지반이 매우 무른 서해안 조간대와 지형이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동해의 사빈에 대하여 정밀한 지형자료를 확보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해안 지형 및 지물에 대한 측량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레벨 또는 토탈스테이션과 같은 측량장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였으며 최근에 GPS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RTK-DGPS를 이용한 측량도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GPS를 포함한 기존의 측량장비를 이용한 조사에서는 조사자가 직접 측량하는 지점까지 접근하여야 하며 측량한 지점에 대한서만 좌표를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수 km에 이르는 넓은 조간대 및 사빈 지역을 측량 할 경우 수십 m또는 수백 m 이내로는 직접측량하기 여렵다. 그 결과 수 cm 이내의 정밀한 지형변화를 탐지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 하였다. 최근 레이저를 이용한 측량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레이저를 이용한 광대역 3차원 스캐너가 개발되었다. 이는 레이저의 거리측정 기술과 매우 정밀한 측각기술과 결합한 형태로 반경 1km 내에 수mm에서 수십cm 이내의 간격으로 측량하여 x y z좌표를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측량 속도가 일초에 수천점에서 많게는 수십만점을 측량할 수 있어 매우 빠른 시간내에 넓은 지역에 대한 정밀한 3차원 지형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지상라이다는 연안 시설물에 대한 현황 파악과 관리에도 매우 효과적인 장비이다. 방파제 부두 등과 같은 시설물은 파랑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시설물이 일부 파괴되거나 형태가 변형되는 경우가 있다. 지상라이다를 이용하면 수mm 의 변이와 파괴된 정도를 부피와 같은 정량적인 값으로 측정 및 분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시설물의 유지 보수 및 관리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해양 과학 기지의 경우 프레임의 변형 및 기둥의 3차원적 변이를 주기적으로 측량함으로써 기지의 유지보수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구조적 문제를 미연에 감지하고 대처할 수 있다. 해안 지형 지물에 대한 3차원 정밀 측량 ○ 서해안 조간대 동해 사빈 섬의 해안 지형에 대한 3차원 정밀 측량 ○ x y z 절대 좌표 및 칼라영상 자료를 함께 취득 ○ GIS를 이용하여 정량 분석 가능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209/.thumb/20120921132714.jpg |
장비위치주소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사동 1270한국해양과학기술원연안재해·재난연구센터 |
NFEC 등록번호 | NFEC-2012-09-172215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500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