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초점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Olympus |
모델명 | LEXT OLS 3100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09-04-27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울산과학기술원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A202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In a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a laser beam passes through a light source aperture and then is focused by an objective lens into a small focal volume within a fluorescent specimen. A mixture of emitted fluorescent light as well as reflected laser light from the illuminated spot is then recollected by the objective lens. A beam splitter separates the light mixture by allowing only the laser light to pass through and reflecting the fluorescent light into the detection apparatus. After passing a pinhole the fluorescent light is detected by a photo-detector (a photomultiplier tube or avalanche photodiode). 기존의 현미경과 달리 공초점 레이져 스캐닝 현미경 기술은 point source로부터 나오는 광 (레이저)을 사용해서 시료의 초점과 detector pinhole 상의 초점을 일치시켜 초점면 이외의 부분은 현미경 상에 나타나지 않도록 하여 기존의 형광현미경에서 나타나는 flare 현상을 제거한 것이다. 또한 computer-controlled motor-driving focusing system을 응용함으로써 automatic optical section이 가능하게 되어 삼차원 영상의 구성이 용이하다.-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 Scanner unit - Control unit - Universal Microscopic Observation System - Line width repeatability of X-direction : 0.014 ㎛ - Difference in level of Z-direction : 0.027㎛- Observation of 3D image 입체영상 또는 삼차원영상의 관측 - Roughness measurement of sample surface 시료 표면의 거칠기 측정 - Depth measurement 깊이 측정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210/.thumb/20121009173121.jpg |
장비위치주소 | 울산광역시 울주군 언양읍 유니스트길 50 울산과학기술대학교 자연과학관 지하1층 B107 |
NFEC 등록번호 | NFEC-2012-09-171091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507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