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보안취약점분석시스템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정보보호기술 |
모델명 | AIRTMS M100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12-03-01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E202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무선 위협에 대한 탐지 및 차단 기능으로 비인가 AP가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불법행위에 대한 방지 기관의 보안 정책에 위반된 내부 방지 내부 사용자가 비인가 무선 AP로 접속하는 불법행위에 대한 방지 외부의 비인가 장비가 내부 AP로 접속하는 불법행위에 대한 방지 Ad-Hoc 모드로 내외부의 클라이언트와 접속하는 불법행위에 대한 방지 기관 AP의 MAC을 도용하는 불법행위에 대한 방지 동일한 SSID를 가진 외부 AP로 접속 불법해위에 대한 방지 동시 다발적 위협에 대한 즉각적인 동시 방어의 기능과 자동분류기능으로 사내에서 정의된 무선 정책에 따른 AP의 자동분류 및 인가기능 탐지기능으로 정확한 비인가 AP탐지 차단기능으로 센서 탐지기능과 동시에 차단 정책을 수행 가능하며 무선침입방지시스템의 센서들은 외부의 무선 장치들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위치의 추적도 가능하다.응용소프트웨어 - 비인가 AP가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불법행위에 대한 방지 - 기관의 보안 정책에 위반된 내부 방지 - 내부 사용자가 비인가 무선 AP로 접속하는 불법행위에 대한 방지 - 외부의 비인가 장비가 내부 AP로 접속하는 불법행위에 대한 방지 - Ad-Hoc 모드로 내외부의 클라이언트와 접속하는 불법행위에 대한 방지 - 기관 AP의 MAC을 도용하는 불법행위에 대한 방지 - 동일한 SSID를 가진 외부 AP로 접속 불법해위에 대한 방지 외무선취약성 확인을 위한 특정 건물에서 본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된 컴퓨터(노트북) 안테나 및 액세스포인터를 적당한 장소에 배치한다. 이후 관련 응용프로그램을 실행시켜 스캔하여 봄으로써 취약성을 체크하여 볼 수 있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211/.thumb/20121114170444.JPG |
장비위치주소 | 경기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경기대학교 산94-6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 종합강의동 6층 BMT실 |
NFEC 등록번호 | NFEC-2013-04-177451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579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