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P 스티머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디젠 |
모델명 | Artrix/e st-1500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11-03-08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C212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다양한 종류의 원단 섬유에 날염할 수 있도록 벨트 타입 원단 공급장치이며 CAP(computer aided publishing)라고도 한다. EP(electronic publishing)와 동일한 의미로 생각하기 쉽지만 EP는 DTP의 상위 개념이다. 출판물을 컴퓨터와 주변기기만을 이용하여 문자 도형 그래픽 사진 등의 자료들을 편집하여 저렴하고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이것은 1980년대 중반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방식의 애플의 매킨토시 컴퓨터와 레이저 프린터가 보급되면서 급속히 보급되었다. 현재는 IBM-PC에서도 이러한 전자출판 시스템의 운영이 가능하다. DTP의 보급으로 전문 인쇄기술과 장비가 없어도 누구라도 필요한 장비만 갖추면 책자를 제작할 때 필요한 도형이나 그림 사진 그래픽 등을 동시에 편집 처리하여 레이저 프린터 등으로 인쇄할 수 있게 되었다. 전자출판을 위해서는 컴퓨터가 화면상의 내용을 그대로 볼 수 있으면서 출력하는 위지윅(WYSI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기능과 그림이나 사진의 입력 및 편집 기술 일러스트 기능 등을 지원해야 한다. 대표적인 전자출판 프로그램으로는 Quark PageMaker 등이 있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204/.thumb/20120409144759.jpg |
장비위치주소 | 경남 진주시 칠암동 150번지 진주산업대학교 공동실험실습관 |
NFEC 등록번호 | NFEC-2012-04-161718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280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