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 전지 촉매소재 제조반응기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다다 |
모델명 | 모델명 없음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12-02-09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B109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EV 배터리에 사용되는 금속 촉매는 대부분 3~5 nm의 크기를 가지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 대부분의 촉매는 수열합성법 혹은 화학습식법에 의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수열합성법이나 화학습식법으로 제도된 촉매는 대면적으로 EV 배터리를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건식 방법이 요구되는데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EV 전지소재 제조반응기이다. 이 장치는 기본적으로 진공 중에서 소스물질인 귀금속 덩어리를 고온으로 가열하면 기상으로 변하면서 배터리 전극 위에 달라붙게 되는데 유효한 면적인 대략 6인치 정도이다. 또한 전극의 온도를 in-situ 상태에서 고온으로 증가시키면 건식방법으로 나노결정 촉매가 전극에 제조된다.Main Chamber - Pumping Module : 고진공이하 - Vacuum gauge unit : Ion gauge 및 convectron gauge (고진공&저진공) - Utility - Electrical control (전자동 시스템) - System frameEV 배터리용 귀금속 나노결정 촉매 제조조 대면적 에너지 소재 제조 (Ag Au 등) DMFC 셀 제조 친환경자동차부품 표면코팅 Main Chamber - Pumping Module : 고진공이하 - Vacuum gauge unit : Ion gauge 및 convectron gauge (고진공&저진공) - Utility - Electrical control (전자동 시스템)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510/.thumb/20151029145932332.jpg |
장비위치주소 | 광주광역시 동구 필문대로 309 (서석동) 조선대학교 제2공학관 5층 5133 |
NFEC 등록번호 | NFEC-2012-03-157738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166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