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장비 및 시설 기본정보

핵산 증폭 검사기

장비 개요

기관명, 장비번호, 제작사, 모델명, 장비사양, 취득일자, 취득금액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ZEUS
장비번호
제작사 Roche
모델명 Light Cycler 480II
장비사양
취득일자 2011-08-01
취득금액

보유기관 및 이용정보

보유기관명,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장비이미지코드, 장비위치주소, NFEC 등록번호,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보유기관명 부경대학교 대연캠퍼스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B201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PCR system으로 핵산증폭장치기라 불리우며
이 반응은 캐리 멀리스(Kary B. Mullis)에 의하여 1985년에 개발된 중합효소 연쇄 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은 현재 유전물질을 조작하여 실험하는 거의 모든 과정에 사용하고 있는 검사법으로 검출을 원하는 특정 표적 유전물질을 증폭하는 방법이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에 의해 소량의 유전물질로부터 염기 순서가 동일한 유전물질을 많은 양으로 증폭할 수 있으므로 인간의 DNA를 증폭하여 여러 종류의 유전질환을 진단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세균이나 바이러스 진균의 DNA에 적용하여 감염성 질환의 진단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의 순서는 3단계로 이루어진다. 열을 이용하여 두 가닥의 DNA를 분리하는 열변성 과정(denaturation)을 거친 후 온도를 낮추어 시발체(primer)가 증폭을 원하는 서열 말단에 결합(annealing)하게 하고 다시 열을 약간 올려서 DNA를 합성하는 중합 반응(polymerization or extension)을 일으킨다. 열변성 과정은 보통 95℃에서 열을 이용하여 2가닥의 DNA의 상보적인 염기의 수소결합을 1가닥으로 떨어뜨리는 과정이며 결합 반응은 약 55~65℃에서 한 가닥의 DNA에 시발체가 상보적인 염기서열에 결합하는 과정이다. 마지막으로 중합 반응은 한 가닥의 DNA(주형 DNA)에 시발체가 붙은 다음의 염기에 DNA 중합효소(polymerase)를 이용하여 주형 DNA의 상보적인 염기를 합성하여 두 가닥의 DNA으로 연장시킨다. 그 후 다시 열변성 과정 결합 반응 중합 반응을 반복하여 DNA를 증폭하게 된다. 중합효소 연쇄 반응 1회를 시행하면 유전 물질은 2배로 증폭된다. 따라서 반응의 반복에 의한 기하급수적인 증폭이 가능하고 중합효소 연쇄 반응을 n회를 반복하면 이론상으로 2의 n승배의 유전자가 증폭된다.PCR의 구성요소
1)DNA RNA template:증폭 대상이 되는 DNARNA
2)PCR Primers:증폭할 부분을 잡는 짧은 염기서열
3)Taq polymerase: 열에 특별히 강한 유전자 합성효소
4)dNTP:유전자를 합성하는 재료가 되는 각 뉴클레오티드 염기들
5)MgCl+2:MgCl2+은 dNTP와 복합페를 형성하여 효소활성 primer annealing 등에 관여PCR기법은 유전자 지도의 작성 멸종된 과거 생물이나 현존 생물의 상호 유연관계를 규명하는 유전적 구성을 분석하는 진화 생물학 친자확인 범인 식별 등 유전적 지문 채취를 이용한 법의학 분야에 활용된다.
또 돌연변이분석 유전병진단 cDNA 합성 바이러스나 각종 병원균 검출 초기식별에 사용된다.
장비이미지코드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203/.thumb/20120319150448.JPG
장비위치주소 부산 남구 대연3동 부경대학교대연캠퍼스 599-1 부경대학교 양어장관리사 1층 105호
NFEC 등록번호 NFEC-2012-03-155824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137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