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장비 및 시설 기본정보

차세대 초전도 박막선재 제조용 동시증발시스템

장비 개요

기관명, 장비번호, 제작사, 모델명, 장비사양, 취득일자, 취득금액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ZEUS
장비번호
제작사 우성하이백
모델명 모델명 없음
장비사양
취득일자 2005-03-30
취득금액

보유기관 및 이용정보

보유기관명,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장비이미지코드, 장비위치주소, NFEC 등록번호,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보유기관명 한국전기연구원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C604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초전도층은 Re(1)1-xRe(2)xBa2Cu3O7 로 이루어진 산화물로서 Re(1) 및 Re(2)는 Y혹은 희토류원소로 초전도 특성이 가장 우수한 combination으로 선택되어 있다. 따라서 4가지의 금속물질을 co-evaporation하여 증착하는 것과 산소와 반응 시켜서 well-textured된 phase를 형성하는 것이 잘 이루어져야한다. 장치는 크게 2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즉 챔버장치와 제어장치이다. 챔버장치는 크게 3부분으로 이루어져있다. 즉 반응챔버, 증착챔버 및 differential 챔버이다. 반응챔버는 2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드럼과 챔버이다. 드럼은 긴 테이프 기판이 감겨있는 직경500 길이720의 SUS원통이다. 섭씨800도로 균일하게 가열된 상태에서 초당 약 1회전하며 증착챔버와 반응 챔버사이에 설치되어 회전함으로서 테이프위에 증착과 반응에 의한 Re(1)1-xRe(2)xBa2Cu3O7형성이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증착챔버는 직경 760 높이 680인 냉각장치된 SUS원통으로 base pressure가 수 마이크로 Torr진공이고 RE(1), Re(2), Ba, Cu, Ag를 각각 증착할 수 있다. RE(1), Re(2), Ba, Cu는 동시 증착되는 데, 이 때 성분비는 테이프 전체에서 일정하게 조절되어야한다. 반응챔버는 1500x950x720 크기의 냉각장치된 SUS챔버로서 내부에 설치된 드럼을 히터로 가열하게 된다. 산소가 튜브로 공급되어 테이프위에 증착된 RE(1), Re(2), Ba, Cu가 반응하여 Re(1)1-xRe(2)xBa2Cu3O7을 균일하게 형성한다. 증착챔버와 반응챔버사이에 있는 1600x240x760크기의 differential챔버는 드럼주위로 흐르는 산소가스가 증착챔버로 진입하는 것을 막는 장치이다.
장비이미지코드 http://www.zeu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308/20130820182739790.jpg
장비위치주소 한국전기연구원 창원
NFEC 등록번호 NFEC-2013-09-182647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http://www.zeus.go.kr/resv/equip/read/Z-NTIS-005331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