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장비 설명 |
레이저 플래시법은 기존의 열전도 측정시 문제가 되었던 정상상태에서의 접촉저항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열확산 측정을 위해 개발됨. 레이저 플래시법의 장점은 이외에도 단시간에 측정이 가능하며, 데이터 취득이 용이하고, 시편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음. 또한 열확산 및 온도의 측정범위가 넓고, 전도성 재료 및 비전도성 재료 모두 측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많은 발전을 하였음. Laser Flash법은 시료 전면에서 순간적 섬광으로 균일하게 가열하면 시간에 따른 시료배면에서의 온도가 상승하여 적외선 센서(IR detector)에 의해 감지하며, 측정된 데이터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계산되어 시료의 열확산계수(Thermal Diffusivity : α)가 측정된다. 일반적으로 레이저 플래시법으로 열전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플래시법으로 열확산, DSC(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에 의해 비열, 아르키메데스의 원리를 이용한 겉보기 밀도를 구하여 측정한다.(열전도율=열확산× 비열× 밀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