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다면화검사기기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Grass Technologies |
모델명 | Comet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06-03-30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경북대학교병원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G203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수면장애의 정확한 진단과 장애의 정도를 평가하는데 객관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이용절차 : 저녁식사를 하고 오후 8시경에 검사실에 도착하게 되면 키 몸무게 혈압 등을 측정하고 수면에 관한 설문지를 작성하게 됩니다. 수면단계를 측정하는 뇌파전극을 머리에 부착합니다. 수면단계를 측정하는 뇌파전극을 머리에 부착하고 호흡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코 가슴 복부에 센서와 벨트를 두릅니다. 눈 움직임 팔다리 움직임 턱 근육의 긴장도를 측정하는 전극을 부착하고 가슴에 심전도 전극을 부착합니다. 그런 다음 수면을 취하게 됩니다.뇌파(C3-A2 C4-A1 O1-A2 O2-A1) 안전도(left outer canthus-A1 right outer canthus-A2) 턱 근전도를 통해 수면의 단계와 각성을 판정하였다. 호흡운동은 흉곽 및 복부 벨트(piezo-crystal respiratory belt recording)를 이용해 측정하였으며 호흡량은 열전대(thermal sensor)와 압력 감지기(presser sensor)로 그 외 산소 포화도(finger pulse oximetry) 및 체위 센서 심전도 양측 전경골근 근전도 검사 불면증 수면무호흡증 수면과다증 사건수면(parasomnia) 일주기성 리듬 등 다양한 수면장애의 진단 및 치료후 경과과정측정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101/.thumb/20110127110551.JPG |
장비위치주소 | 대구시 중구 삼덕2가 50번지 경북대학교병원 특수검사실/305병동 검사실 |
NFEC 등록번호 | NFEC-2011-01-137877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24792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