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도립형광현미경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Nikon |
모델명 | Eclipse Ti-E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13-12-20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한국뇌연구원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A201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생체 세포 및 조직에서 목적 단백질의 기능 규명을 위해 형광 염색 처리된 영상을 고감도로 분석. 자동 시스템으로 C02 등 악세사리만 추가하면 살아있는 세포등을 관찰및 분석 이 가능함. 기존 수은램프보다 COOLED LED 형광조명장치를 사용하여 시그날이 약한 형광샘플 관찰이 가능함. 세포의 성장을 디쉬의 여러 위치를 지정하여 비교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고 관찰하여 정확한 세포의 변화를 확인 . 위상차와 DIC이미지를 모두 사용하여 세포의 정확한 변화를 다방면으로 구별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 형광 관찰이 가능한 고사양의 Mono 카메라 장착으로 시료의 관찰뿐 아니라 길이 형상 측정 및 자동 초점 향상 타일링 실시간 측정 자동 보정 자동 카운팅 기능 .촬영 및 이미지 분석이 가능함.Configuration of Goods 1) 전동 도립 현미경 - 전동장치를 이용하여 버튼하나로 단시간에 설정을 최적화시킴으로써 현미경 조작의 오류 및 살아있는 세포의 외부 환경 노출을 최소화하도록 하여야 함. 2) 대물렌즈 (4배10배 20배 40배 60배) 3) 형광장치 (LED 조명) - 형광램프의 사용시간이 긴 것을 사용하여 잦은 교체로 인한 사용상의 제약이 없도록 하여야 함. 4) 형광필터 3종 (DAPI FITC TRITC) 5) Motorized stage Specification 1) 전자동 도립 현미경 (Fully motorized inverted microscope) - 전자동 광 경로 설정 : 관찰자의 눈으로 100% & 카메라 포트로 100% - 전동 노스피스 (Motorized nosepiece) 2) 전동 재물대 (Motorized XY Stage) - 수평이동 시 최소단위 : 0.1 μm 이하 - 위치이동 재현성 ±0.5μm 이하 - 최고이동속도 : 25mm/sec 이상 - Tile & Multi-positions Physiology analysis 3) 초점 나사 : - 미동나사 움직임 : 회전당 0.1 mm 이하 - 최소이동단위 : 0.05 um 이하 4) 대물렌즈 - Plan Fluor DL 4X 개구수. 0.13 작업거리. 16.4mm - Plan Fluor DL 10X 개구수 0.30 작업거리. 15.2mm - Supper Plan Fluor ELWD ADM 20XC 개구수 0.45 작업거리. 8.2-6.9mm - Supper Plan Fluor ELWD ADM 40XC 개구수. 0.60 작업거리 3.6-2.8mm -Plan Apochromat 60XH DM 개구수1.40 작업거리. 0.13mmPH-3 5) 형광장치 - LED 조명장치 - 형광필터 : DAPI FITC TRITC 6) 스테이지 - X-Y 자동 스테이지 7) 무진동 테이블 - 600x600x600 8) 고 감도 흑백 카메라 9) 이미지 취득 및 분석 프로그램 - 6차원 영상 취득 : X Y Z 시간 파장 위치에 따른 다차원 영상 취득 - 측정 : 길이 면적 각도 및 신호의 밀도 등 측정 - 분석 : 객체 개수 및 Co-localization 분석 및 측정 3D 이미지 구현 프로그램 이상 10) 데이터 처리장치 - I7 8g 1 tera 24" 모니터사용하기에 편리한 소프트웨어를 채용하고 있으며 일반적 이미지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동일한 GUI를 가지고 있어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서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공동 활용을 위한 개방이 가능함. 자동 형광 현미경은 최근 다양한 application을 수행할 뿐 아니라 여러 분야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어 연구소마다 필수장비로 구축하고 있고 대경지역권내 동일 사양의 장비가 없으므로 지역 연구장비 인프라 확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됨. 본 기기는 사용하기에 편리한 소프트웨어를 채용하고 있으며 일반적 이미지에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와 동일한 GUI를 가지고 있어서 소프트웨어에 대한 접근성이 좋아서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어 공동 활용을 위한 개방이 가능함. 기존의 형광이미지를 통한 분석 기법을 이용한 결과와 비교하여 한층 깊이 있고 다각적인 결과를 예상할 수 있으므로 현재 이미지 분석 장비들이 사용되고 있는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405/.thumb/2014050811254226.JPG |
장비위치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첨단로 61 (신서동) 한국뇌연구원 연구본부 4층 공동장비실 |
NFEC 등록번호 | NFEC-2014-05-187363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4294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