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장비 설명 |
- 전해질물질을 이용할 때 주위의 수분농도와 산소의 농도가 제작되는 소자에서 유도되는 전하량의 한계를 결정한다. 수분의 농도와 산소의 농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화학적 반응없이 극한의 전하밀도를 구현할 수 있다. 대부분의 타사의 glove box가 각각의 최저농도를 1ppm으로 specification으로 제시하지만 본 프로젝트를 위해서 적합한지는 검정된 적이 없다. 본인은 지난 2년 동안 위에 제시한 M. Braun 사의 모델을 사용하여 2 x 10^15/cm^2의 높은 전하 밀도를 유도한 적이 있다(당시로서는 최고의 전하밀도임). 본 장비를 구매할 경우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glove box안의 환경으로 인한 프로젝트의 성공과 관련한 위험성을 배제시킬 수 있다. - glove box는 일반적이지 않은 working distance (75mm)가 길면서 고배율의 stereomicroscope(배율 80배)를 장착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전해질물질을 소자에 떨어뜨릴 때 가시적인 구별을 위해서 높은 contrast를 요구한다. 타사의 glove box에 사용되는 stereomicroscope가 위의 조건을 일반적으로 만족하지 않는다. 본인은 M. Braun사의 옵션으로 제공하는 같은 스펙의 stereomicroscope(Leica S8APO)를 이용해서 작업할 때 적합한 모델임을 Leica Korea의 데모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언급한 사항 또한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봉착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 본 모델에 적용된 UV protection window 옵션은 UV에 sensitive한 전해질이나 모노머나 폴리머를 다룰 때 필수적이다. UV protection 옵션의 같은 모델을 사용해서 언급한 물질을 이용해서 소자와 관련된 공정을 검정한 경험이 있다. - 뿐만 아니라, 언급한 모델(LabMaster)은 본 프로젝트 수행 이후에 연구원의 다른 프로젝트를 위해서 사용할 수 있는 hardware와 control software의 확장성을 가지고 있는 고사양의 모델이다. 타사의 제품이 M.Braun사의 제품과 같은 일반적인 확장성을 가지고 있는지 의문스럽다. - 그리고, M. Braun사의 오랜 축적된 microscope 장착 기술과 시간이 지나면서 생길 수 있는 leak와 관련한 내구성과 사용자를 배려한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에 기반한 편의성을 신뢰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