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장비 및 시설 기본정보

원자현미경

장비 개요

기관명, 장비번호, 제작사, 모델명, 장비사양, 취득일자, 취득금액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ZEUS
장비번호
제작사 파크시스템스
모델명 NX10
장비사양
취득일자 2013-06-24
취득금액

보유기관 및 이용정보

보유기관명,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장비이미지코드, 장비위치주소, NFEC 등록번호,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보유기관명 광주과학기술원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A208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교차간섭 제거를 통한 정확한 원자현미경 이미징
- 시료와 팁에 2개의 독립된 플랙셔 스캐너를 사용하여 가장 뛰어난 XYZ 스캔 선형성
- 전체 XY 스캔 범위에서 1nm 미만의 가장 우수한 평면 외 움직임
- 0.015% 미만의 Z 스캐너 선형성
- 예측형 사인 스캔 알고리즘으로 XY 스캐너 진동 감소
완전 비접촉 모드로 정확한 원자현미경 이미징
- 업계에서 가장 높은 9kHz 이상의 Z 스캐너 대역폭과 팁 속도 62mm/초 이상의 Z 서보 속도
- 비접촉 모드 이미징 시 가장 빠른 스캔 속도
- 팁 마모를 줄여 장시간 동안 고해상도로 측정 가능
- 시료 손상 또는 변형 최소화
실시료 형상기술로 정확한 원자현미경 측정
- 업계에서 가장 우수한 저 노이즈 Z 검출기로 시료 표면 형상 측정
- 업계에서 가장 우수한 0.15% 미만의 왕복 시 스캔 간격
- 열 특성이 동일한 부품으로 제작하여 시스템 표류도 및 히스테리시스 최소화
- 진동 차폐함을 통한 능동 온도 조절
NX 사용자 생산성
- 측면으로부터 팁과 시료에 폭넓게 접근하여 손쉽게 팁 교환 가능
- 사전 정렬된 팁 장착부와 특허를 획득한 직접 관찰 광학 장치로 손쉽고 직관적인 레이저 정렬 가능
- 10초 이내에 빠르게 자동으로 시료 표면에 팁 접근
- 3개의 내부 락인앰프 Q 제어 및 스프링 상수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갖춘 24비트 디지털 전자회로분석의 시간적인 제약과 샘플준비의 한계로 인해서 타 연구실 장비사용에 어려움이 많았지만 본 장비의 구매를 통해서 여러 가지 제약없이 폭 넓은 연구를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기본적인 AFM의 용도(표면 분석) 이외에도 추가적인 option의 구매를 통해서 본 연구실에서 다뤄지는 반도체/dielectric 물질 graphen PVDF 그리고 MoS2 등과 같은 여러 물질의 특성 파악이 가능하다. 특히 추가 구매하는 PFM의 경우 piezo 물질 연구에 반드시 필요한 d33 값 측정은 물론 dipole을 정렬하는 poling 공정을 진행할 수 있어서 piezo 물질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일반적으로 AFM은 시료의 상대적의 크기를 알아내는데 적절한 기구로 인식되고 있다. 측정해야할 시료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면서 시료 표면 구조와 절대적 크기를 정밀하고 반복적으로 측정하고자 할 때 AFM의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구매하고자 하는 AFM의 경우는 상기와 같은 목적이외에 추가적인 option (c-AFM PFM)을 구매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하고자 한다. conductive AFM을 이용해서 시료 표면 특정지역의 전류와 전압 특성을 확인하여 반도체 소자의 결함을 확인하거나 응용할 수 있으며 PFM의 경우 연구실에서 연구하는 piezo 물질인 PVDF와 PZT의 d33 값 확인과 dipole들을 배열하는 poling 공정을 진행하여 여러 가지 소자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뿐만 아니라 공정적용도 가능하다.
장비이미지코드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404/.thumb/20140424171722681.png
장비위치주소 광주 북구 오룡동 광주과학기술원 1 광주과학기술원 금호관 지하1층
NFEC 등록번호 NFEC-2013-06-180445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954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