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파수 변환기 및 역률 보상용 콘덴서 뱅크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Photon Systems Instruments(PSI |
모델명 | 75 kVA, 380 V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12-05-16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D402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주파수변환기및역률보상용콘덴서뱅크 산업체대전류변성기를평가하기위한이동용50Hz60Hz겸용15kA대전류발생원으로사용 [1안의 특징] (문제점1) 이런 방식은 일반 공장 건물등에서 대다수 사용하는 방안들이다. 이런 경우 항시 콘덴서가 연결되어 있어 주간의 역률이 낮은 환경에서는 어느정도 보상되는 효과가 있어 90% 이상을 유지하지만 모든 사용부하를 OFF하고 퇴근한 야간에서는 역으로 역률이 100% 가 넘어 역으로 전기가 흐르는 문제를 야기한다. (문제점2) 또한 24시간 콘덴서가 전원단에 연결되에 있음에 의해 콘덴서에 일정 전류가 계속 흐르게 되고 이로 인해 내부의 내부 발열이 발생하고 내부 유전체전해질의 열화로 인해 용량이 감퇴되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상태로 점차 시간이 누적되면 몸체가 풍선처럼 부풀려지는 "배불림" 현상이 발생한다. (문제점3) 현장의 전기 설비가 점차 다양화 해지고 복잡해짐에 의해 고조파 성분이 발생한다. 이 고조파 전류는 진상 콘덴서에 영향을 주게 되고 이로 인해 특정 주파수에 대하여 내부적으로 임피던스가 매우 낮아짐에 의해 큰 전류가 흐름에 의해 콘센서에 고열이 발생하거나 소손파손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리엑터를 직렬로 연결하여 이를 필터링 해주면 다행이지만 이런 고정방식에선 수시로 변동되는 부하전류의 고조파 성분을 파악하기 어렵다. (장점) 이 방식은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것이다. 역률 증대에 필요한 콘덴서 (KVA)를 계산하여 적정 용량을 산정한후 메인단에 병열로 장착하면 된다. 또한 콘덴서 부피 정도의 공간만 차지할뿐 수배전반과 같이 큰 공간이 필요하지 않는 방식이다. [2안의 특징] 이 방식은 전압과 전류를 1개소 측정하여 이를 통해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를 측정하여 역률을 계산하여 지시함과 동시에 적합한 목표 역률이 달성되게 여러개의 콘덴서가 마크네트에 연결되고 이 마그네크를 ON/OFF함에 의해 여러개의 콘덴서를 ONOFF 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그 기본 구성도는 아래와 같다. * 전압측정부 RST 상중에서 상간전압이나 선간전압중 1 |
장비이미지코드 | http://www.zeu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206/20120612102612.JPG |
장비위치주소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223동 |
NFEC 등록번호 | NFEC-2012-06-164218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resv/equip/read/Z-NTIS-0033194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