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로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명성엔지니어링 |
모델명 | MSF1000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03-04-15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수원대학교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전기에너지로 가열하는 노(爐). 실험실뿐만 아니라 금속 · 기계 · 화학공업 · 요업(窯業)을 비롯한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전기로를 가열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저항로 · 아크로 · 유도로(誘導爐) · 전자빔로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로는 연료를 사용하는 연소로(燃燒爐)에 비해 폐기가스의 발생이 없고 노내 분위기의 제어가 용이하며 온도제어 등의 조작 및 자동화가 쉽지만 열변환효율(熱變換效率)이 나쁘고 값이 비싸다.전기저항체에 전기를 통할 때 발생하는 줄열(熱)로 노 자체를 가열하고 그 열로 피열물(被熱物)을 가열한다. 공기 중에서 1200℃ 이하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발열체로는 니켈-크롬 철-니켈-크롬 및 철-크롬-알루미늄 합금이 있다. 1500~1900℃의 온도에서는 백금 백금-로듐 합금 및 탄화규소 · 이규화몰리브멘 · 란탄크로마이트가 있다. 진공 중 또는 비산화성(非酸化性) 분위기에서는 몰리브덴 · 텅스텐 · 탄탈 등의 고융점금속(高融點金屬)이나 흑연이 사용된다. 피열물에 직접 전류를 통하게 해 그 줄열로 가열하는 직접저항로도 있으며 카바이드 · 인조흑연의 제조 고융점금속의 분말성형품(粉末成形品)의 소결(燒結) 등에 사용된다.피가열물에 교류자기장을 작용시켜 이 자기장에 의해서 피가열물 속으로 전류가 흘러 용융하는 것으로 금속을 정제하는 데 사용되는 노이다. 따라서 유도로에는 이것을 둘러싼 코일이 있다. 이 코일에 보내는 교류의 주파수가 50~60㎐인 것을 저주파 유도로 1만 ㎐ 이상의 것을 고주파 유도로 1만 ㎐ 이하를 중간주파 유도로라고 한다. 중간 및 고주파로의 전원은 10㎑까지는 고주파 발전기에 의하고 주파수가 그 이상인 것은 불꽃 발진기ㆍ진공관 발진기 등에 의한다. 발전기인 경우의 용량은 수 ㎾에서 큰 것은 2000㎾급의 것도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전기로 [electric furnace] (금속용어사전 1998.1.1 성안당)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403/.thumb/2014033116318531.jpg |
장비위치주소 | 경기 화성시 봉담읍 와우리 수원대학교 산2-2번지 수원대학교 고운첨단과학기술연구원 5층 505 |
NFEC 등록번호 | NFEC-2008-09-068539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11335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