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섬유추출기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Gerhardt |
모델명 | Fibretherm FBS 24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07-11-13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재)경북해양바이오산업연구원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B516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특징 12 개의 조섬유 동시 자동분석이 가능한 제품으로 회화시에 완전 연소되는 Bag에 시료를 정량투입 후에 자동으로 알카리 산 물로서 자동 세척 이 가능한 제품 - 기존의 유리필터에 비하여 사용이 간편하며 뛰어난 정확성을 갖추어 동시 다 분석에 용이한 제품임구성및성능 식품활용분야 조섬유정량을 위한 자동 조섬유 측정장치로서 Fiber Bag을 이용하여 손쉽게 시료추출 린싱 와싱이 가능한 제품임. 식품 및 사료의 일반 분석에서 시료를 뜨거운 황산 및 수산화나트륨용액(모두 1.25%)에 넣었을 때 용해되지 않는 유기성분. 일반적으로는 헨네베르그스토맨(Henneberg-Stohman) 개량법으로 측정된다. 주로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의 일부 리그닌 펜토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식품성분표에서는 단순히 섬유라고 표현하지만 사료성분표에서는 조섬유라고 하는 예도 많다. 조섬유의 성분은 소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영양소로는 취급되지 않는다. 그러나 반추위동물에서는 제1위 내의 발효로 상당 부분이 이용된다. 최근 섬유성분에 헤미셀룰로오스의 대부분 펙틴 및 고무질 등을 가한 난소화성 다당류를 식이성섬유질(dietary fiber)이라 하고 만성퇴행성질병이나 대장암의 예방에 효과가 있는 성분으로 분석되고 있다. 식이성섬유질의 함량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조섬유의 약 3~5배라고 간주되고 있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309/.thumb/20130905141129587.jpg |
장비위치주소 | 경북 울진군 죽변면 후정리 688-3 본관 |
NFEC 등록번호 | NFEC-2008-08-064318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0962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