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경영상네트워크시스템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Olympus |
모델명 | optical jp cx21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09-07-08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A201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두 눈으로 표본의 실체적 관찰을 하는 현미경으로, 배율은 10∼100배로 있으며, 시료의 입체상을 볼 수 있는 비교적 배율이 낮은 현미경을 말합니다.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및 정립프리즘으로 구성된 독립한 좌우 2조의 현미경을 말합니다. 정확한 영문 명은 Stereoscopic Miscrosocpe 입니다. 우리 말로 번역하면 실체현미경, 입체현미경이 됩니다. 실체현미경은 광학 현미경의 하나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체현미경은 위에서 빛을 비춰 반사된 상을 관찰하는 것 입니다. 주로 문체의 자세한 겉표면을 입체감 있게 보는데 사용합니다. 광학 현미경과 달리 빛을 이용하지 않습니다. 광학현미경에 비해 두께가있는 시료도 볼 수 있습니다.실체현미경의 경우 일반 확대 돋보기 같은 현상으로 일반 돋보기는 단면을 관찰하지만 실체현미경의 경우 입체적으로 관찰할수 있으며 일반 저배율현미경으로 최대 200배- 300배정도까지 관찰이 가능합니다. 실체현미경은 사람의 눈으로 보는 것과 같이 유사하게(입체적으로) 보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람의 눈으로 보는것과 유사하게 보이는 이유는 실체현미경의 구조 때문인데요, 두 가지 구조가 있습니다. 평행 옵틱 방식(Parallel- optics)과 Greenough 방식이 있는데 평행 옵틱 방식은 Objective lens 가 한개인 것이고, Greenough 방식은 Objective lens 가 두개인 것이 차이점입니다.해부할 때에 쓰는 비교적 낮은 배율의 현미경으로 사용합니다. 그리고 시료를 슬라이드글라스에 놓고 빛을 투과해서 보는게 아니라 페트리디쉬 상태에서 바로 관찰이 가능한 현미경입니다. 인공수정, 실험동물의 해부, 식물, 곤충 등 부피와 입체감 있는 샘플과 넓은 작업공간을 필요로 하는 연구에 적합합니다. 실체현미경은 50배 미만의 저배율로 어떤 사물을 입체적으로 사실감 있게 보고자 할때 사용되며, 동물을 프레파라트에 넣어서 관찰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세포단위의 작은 물체의 확대에 사용하기 위함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곤충과 같은 비교적 큰 샘플을 실체현미경으로 보시면 모든 부분을 우리 눈으로 보는 것 보다 훨씬 선명하고 입체적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412/.thumb/20141218101748772.jpg |
장비위치주소 | 경남 양산시 물금읍 범어리 부산대학교양산캠퍼스 의학전문대학원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5층 519 |
NFEC 등록번호 | NFEC-2014-12-194081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46613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