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격전압 발생기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Highvolt |
모델명 | IP 240/2400G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13-05-31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기초전력연구원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D402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 IEC 60060-1(고전압 시험)의 임펄스 시험 표준에 의거한 1.2/50 μs의 표준뇌임펄스 발생기 ○ IEC 62305(피뢰시스템)에 의한 수뢰부 방전 연구에 적합 ○ IEC 60099(피뢰기 시험)에 의한 피뢰기 완제품 임펄스 시험 ○ IEC 60076-3(전력용 변압기)에 의한 임펄스 시험(최대 2 100 kV) ○ 배전계통의 절연성능 평가 및 향후 국내에 도입될 배전급 이상의 피뢰기 완제품 성능시험까지 고려한 성능 수준 ○ 전기설비기술기준 판단기준에서 IEC(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표준을 적극 수용하여 전기분야에서 적용하도록 규정 ○ 스마트 그리드의 기반을 이루는 에너지망을 포함하여 풍력발전 설비 디지털 전자부품 설비 통신설비 제어설비에 대한 피뢰대책의 중요성 증가 ○ 피뢰연구 및 시험에 대한 국제 표준의 급속한 제/개정 동향에 대처 ○ WTO/TBT 협정에 의해 IEC 표준의 국내 KS 부합화 진행 ○ 피뢰 분야에 대한 국제 공용의 기술표준 적용 ○ 피뢰침 피뢰기 서지보호기 등 국내 피뢰 분야 발전을 위한 전문 연구/시험 기관의 부재 및 전용 시험설비 인프라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 부족 ○ 피뢰대책 분야의 제품개발 국내 시험인증 수출 장려를 위한 연구 기반 설비 구축○ 충격전압발생기 2 400 kV 240 kJ 20 kJ × 12 stages - No load efficiency for LI : 95 % / SI : 70 % - Total charging energy : 240 kJ ± 5 % - Min. time difference between impulse : 40 s ○ 분압기 2 400 kV Uncertainty ? 2 % ○ 쵸핑갭 1 800 kV ○ 측정시스템 100 MS/s 14 bit 2 Ch. Uncertainty ? 2.2 % ○ 발생파형 1.2/50 μs 2 400 kV 250/2 500 μs 2 100 kV○ 피뢰 분야를 포함한 고전압 분야의 전국 대학과 공동활용 협력연구 수행 ○ 국내 피뢰분야 기업의 제품개발을 위한 연구지원체제 운용 ○ 기업의 수출장려를 위한 국제 인증 공인시험 지원 ○ 국제적인 소급성이 확보된 연구/시험 장비구축으로 국제 공인시험 분야 확대 ○ 전력시험설비센터를 통한 체계적인 공동활용 지원 및 구축설비 관리 ○ 수뢰부 낙뢰시 전압파형 및 임펄스 절연내력 시험의 표준파형을 고려한 1.2/50 μs 2 400 kV 범위의 임펄스 전압 발생기 필요 ○ 수뢰부의 보호반경은 LPL 수준에 따라 20 m 30 m 45 m 60 m 이므로 전체 보호반경에 대한 방전 시험이 가능한 충격전압발생기는 경제적 여건상 불가능하므로 ○ 축소 전극모델 또는 모의 구조물을 통한 시험을 위해 옥내설비로 가능한 충격전압발생기는 공간거리 4 m를 기준으로 2 000 kV 내외의 규격이 적합(High Voltage Test Techniques Dieter Kind and Kurt Feser 1999) ○ 배전계통의 절연성능 평가 및 향후 국내에 도입될 배전급 이상의 피뢰기 완제품 성능시험까지 고려한 성능 수준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306/.thumb/2013062520751840.jpg |
장비위치주소 | 강원 춘천시 남산면 창촌리 635번지 기초전력연구원 춘천시험인증센터 1층 |
NFEC 등록번호 | NFEC-2013-06-180335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897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