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기관명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G200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심혈관계 자율신경병증의 진단은 특수한 자율신경검사가 필요하며 San Antonio 회의에서 권고하는 Ewing의 5가지 표준 검사를 권장하고 있다. 표준 검사는 유발검사를 하는 동안 심박수와 혈압의 변화를 분석하는데 주먹쥐기와 기립에 따른 혈압의 변화를 측정하고 심호흡 기립 그리고 발살바 조작 동안 심박변동을 측정하는 방법 및 심전도의 QTc 간격 등을 사용한다. 순간의 심박수 (R-R간격)는 부교감 및 교감신경의 영향을 받아 조절되는데 R-R 간격의 변화는 R-R 간격변화의 통계적 분석 또는 연속적인 RR 간격변화의 스펙트럼 분석으로 할 수 있다. ANSAR ANX 3.0의 경우 기존의 검사 장비와 달리 교감신경/부교감신경 기능 부전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으며 비침습적이고 짧은 시간 안에 환자 상태를 평가할 수 있다.심박변동과 호흡변동에 기반한 검사로 3개의 lead를 몸에 부착하여 EKG 및 respiratory signal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읽어서 계산함. 약 15분이 소요되며 간단히 휸련만 받으면 어떠한 technician에 의해서도 시행될 수 있음. 또한 현재 미국 FDA에서 승인된 유일한 자율신경병증 검사임.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의 임상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은 당뇨병 초기부터 발생하며 특히 당뇨병성 말초 신경병증이 있는 경우 약 50%에서 당뇨병성 자율신경병증이 동반되어 있다. 하지만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을 수 있는 반면 부정맥 및 급사와 관련되어 있어 조기 발견 및 예방/치료가 필요하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407/.thumb/20140728155724836.jpg |
장비위치주소 |
서울 성북구 안암동5가 고려대병원 126-1 고려대병원 임상시험센터 5층 5907 |
NFEC 등록번호 |
NFEC-2014-07-190432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42970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