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력탐지기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Gichd |
모델명 | FEREX-4-032-DLG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07-12-31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국립문화재연구소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D501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특징 물체가 가지고 있는 미세한 크기의 자력을 측정하여 매장문화재를 비파괴 조사법으로 탐지함구성및성능 Datalogger Probe650(3Sensor) 3 probe holder cable battery pack case활용분야 전원 : DC 6V(4 x 1.5V D-cells) 센서를 Datalogger에 케이블을 이용한다. 밧데리 4개를 삽입하고 전원버튼을 5초간 누른다. 센서 보 정을 한후 셋팅한 그리드 안에서 탐사를 한다. 자력탐사 [ magnetic survey 磁力探査 ] 일련의 측점에서 지자기장 혹은 그 성분을 측정함으로써 지하자원을 확보하거나 지질 구조를 규명하는 물리탐사. 자력탐사는 신속 간편 저렴하고 항공기 배 인공위성 등을 이용한 이동 측정이 가능하며 그 응용 범위가 매우 넓다는 장점이 있으나 분해능이 비교적 낮다는 단점이 있다. 자력탐사의 역사는 철광상을 필두로 금속광의 탐사에서 시작되었지만 자력계의 진보에 따라 미약한 자력 이상의 검출이 가능해지고 특히 1950년대에 항공 자력탐사가 보급됨에 따라 자력 탐사의 용도는 매우 다양해졌다. 철광상 등 직접적인 탐광 뿐 아니라 단층 파쇄대 등의 지질 구조에 관한 정보 및 관입암의 분포 상황에 대한 정보도 제공해준다. 따라서 석유 지열 지하수등 유용 지하자원 탐사는 물론 터널 댐 대형 구조물 등의 토목 분야 그리고 고고학 분야에도 응용되고 있다. 탐사 및 해석은 일반적으로 다음 그림과 같은 순서로 수행된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109/.thumb/20110924172147.JPG |
장비위치주소 | 대전 유성구 문지동 472 국립문화재연구소 |
NFEC 등록번호 | NFEC-2009-10-077501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1713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