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증폭기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Applied Biosystems |
모델명 | 7500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12-03-06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충남대학교병원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B201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Real time PCR법은 PCR 증폭산물의 증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해석하는 기술이다. End Point에서 PCR 증폭산물을 확인하는 기존의 PCR법에 비해서 다음과 같은 잇점을 갖고 있다. ① DNA와 RNA의 정확한 정량이 가능하다. ② 전기영동이 필요 없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석할 수 있으며 오염의 위험성이 적다. 현재는 유전자 발현해석과 SNP typing 등에 있어 필수적인 기술이 되고있다. Real time PCR에서는 PCR 증폭산물을 Real time으로 모니터링하여 증폭이 지수적으로 일어나는 영역에서 정량하기 때문에 기존 기술인 RT-PCR법과 달리 PCR의 증폭속도 이론을 기초로 정확한 정량이 가능하다. 검출방법에는 다음과 같다. (1) Interchelating법(SYBR Green I): SYBR Green I는 Double strand DNA에 결합하여 형광을 나타내는 시약(interchelator)이다. Interchelator는 PCR 반응으로 합성된 double strandDNA에 결합하여 형광을 발하며 이 형광강도를 검출하여 증폭산물의 생성량을 측정할 수 있다. (2) TaqMan probe법: 5’말단은 형광물질(FAM 등)로 3’말단은 quencher 물질(TAMRA등)로 수식한 oligonucleotide (TaqManTM probe)를 PCR 반응액에 첨가하는 방법이다. TaqManTM probe는 annealing step에서 template DNA에 특이적으로 hybridize하지만 probe상에 quencher에 의해 형광 발색이 억제된다. Extension 반응시에 Taq DNA polymerase가 갖는 5’→3’exonuclease 활성으로 template에 hybridize한 TaqManTM probe가 분해되어 형광색소가 probe에서 유리되면서 quencher에 의한 억제가 해제되어 형광을 나타낸다. (3) Cycling Probe법: Cycling Probe법은 RNA와 DNA로 이루어지는 chimera probe와 RNaseH로 구성된 고감도의 검출방법이다. Probe는 5’말단은 형광물질로 3’말단은 quencher 물질로 표식되어 있다. 이 probe는 일반적으로 quencher에 의해 형광을 발하지 못하지만 증폭 산물 중의 상보적인 서열과 hybrid를 형성한 후 RNase H에 의해 RNA 잔기가 절단 되면 강한 형광을 나타내게 된다. 또 probe의 RNA 부분이 mis-match 되면 RNase H에의해 절단되지 않기 때문에 서열 특이성이 매우 높은 검출방법으로 특히 SNPs typing 등에 최적이다Real time PCR를 하기 위해서는 thermal cycler와 분광 형광 광도계가 일체화된 Real time PCR 전용 장치가 필요하며 Thermal cycler로 DNA를 PCR 증폭시키면서 분광 형광 광도계로 그 증폭산물을 측정해 나간다. 현재 보유한 기기는 96 well plate 단위로 반응할 수 있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203/.thumb/20120322174230.JPG |
장비위치주소 | 대전 중구 문화1동 충남대학교의과대학 6 임상시험센터 의과대학 본관 4층 약물유전체실 |
NFEC 등록번호 | NFEC-2012-03-161451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1610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