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광 분석기/게수기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Bio-rad |
모델명 | ChemiDoc XRS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06-01-12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A602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특징 X-ray film으로 확인할 때 처음에 signal이 보이지 않으면 다시 film을 덮고 더 오랜 시간 exposure를 하게 되어 처음 확인한 signal을 버리게 된다. 이런 X-ray film의 단점을 보완 할 수 있는 live acquisition 방법은 바로 이미지 장비를 이용하는 것이다. 이미지 장비는 원하는 총 노출 시간과 얻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 수를 입력을 하게 되면 스스로 이미지를 찍어서 보여주며 그 중에서 원하는 이미지만 저장하거나 data로 사용하면 된다. Chemiluminescence signal은 약한 빛이기 때문에 일부분을 버리게 되면 실질적으로 약한 signal은 band로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Chemiluminescence의 약한 빛을 확인하기 위해 오랜 시간 시료를 노출하여 영상을 얻게 된다. 이렇게 장시간 노출 시 카메라에 열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열은 영상에 noise로 나타나게 된다. ChemiDoc XRS은 가장 효과적인 방법 으로 알려진 Peltier cooling 방식의 CCD camera를 사용하므로 좋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구성및성능 디지털 영상을 통하여 정량 분석을 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data collection 정도와 dynamic range라 할 수 있다. 즉 기존의 8 bit 영상처리 시스템에 비하여 ChemiDoc XRS는 12bit 로 영상처리를 하기 때문에 4096 gray level로 정확한 정량이 가능하며 3 order dynamic range를 구 현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정량이 가능하다. 이밖에도 ChemiDoc XRS는 reference plate를 사용하여 스캔 영역 전체에서 reference file을 만들고 그에 따른 보정을 하기 때문에 전체 non- uniformity를 5 % 이하로 낮추어 정확한 정량이 가능하게 한다. 활용분야 Silver stain Coomasie stain Green fluorescence protein SYBR Green I stain SYPRO Ruby stain.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110/.thumb/20111010142731.JPG |
장비위치주소 | 경기 안산시 상록구 사3동 한양대학교 1271번지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제5공학관 1층 121 |
NFEC 등록번호 | NFEC-2009-05-070662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11876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