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장비 및 시설 기본정보

저잡음 액체헬륨듀어

장비 개요

기관명, 장비번호, 제작사, 모델명, 장비사양, 취득일자, 취득금액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ZEUS
장비번호
제작사 Cryoton
모델명 LH-11.5-NTE
장비사양
취득일자 2010-03-10
취득금액

보유기관 및 이용정보

보유기관명,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장비이미지코드, 장비위치주소, NFEC 등록번호,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보유기관명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G203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특징 FRP를 이용한 비자성 액체핼륨 듀어. 저잡음 슈퍼인 슐레이션 장착으로 열자기잡음을 감소시킨 모델 구성및성능 내용용량 약 12리터. 헬륨증발율〈1.5 L/day 활용분야 SQUID 센서 냉각 및 극미세 자기장측정실험 심혈관계 질환의 진단에서 심전도(ECG)는 가장 기본이 되 는 측정 장비이다. 본 연구단에서는 ECG를 이용한 측정기술 중 심박동변이도(heart rate variability: HRV) 측정의 활용 기술을 연구하고 있으며, HRV 측정을 이용한 관상동맥질환 진단용 분류함수와 다차원패턴을 개발하였다. 또한 심근경색 이나 뇌졸중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조기 진단에 필수적인 경 동맥의 내막과 중막의 두께 측정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연구 도 수행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심혈관계 질환 진단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한국인의 표준 심혈관계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연구도 시작하였다. 경동맥(목 부위 동맥)의 고해상도 초음파 검사를 통해 측 정이 가능한 혈관벽 두께나 경동맥 경화반의 존재여부는 심 장혈관과 뇌혈관의 좁아진 정도와 상관성이 매우 높다는 연 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또한 심근경색증이나 뇌졸중과 같 은 생명에 직결된 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밝혀지고 있다. 경동맥 혈관벽 두께는 비침습적 방법으로 목 표면에서 초음파 영상촬영을 통하여 측정이 가 능하여 위험부담이 없으므로, 2000년 미국심장협회에서 경 동맥 혈관벽 두께를 심장 및 뇌혈관 조기진단 지표로 권장 하였고 유럽 심장병 학회에서도 이를 이용한 질환의 선별 검사를 권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지표의 임상적용 분야 가 전 세계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이 조기진단 지표를 한 국인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인에 대한 경동맥 혈관벽 두께치의 성별 연령별 기준치 확립이 시급하게 대두되고 있 다. 경동맥의 내막과 중막은 매질의 밀도가 비슷하고 각각의 두께가 대략 0.2∼1 mm 정도이므로 10 MHz 급의 초음파 영상에서 분리측정이 실질적으로 거의 불가능하다. 그리고 세계적으로도 고혈압이나 흡연과 같은 특정한 위험인자가 내막과 중막 각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임상연구를 할 수 없었다. 본 연구단에서는 내막과 중막을 분리 측정할 수 있 는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그림 10) 이 분야의 임상연구가 가 능하게 되었다
장비이미지코드 http://www.zeu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106/20110610095134.JPG
장비위치주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물리동
NFEC 등록번호 NFEC-2010-05-079774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http://www.zeus.go.kr/resv/equip/read/Z-KRISS-0000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