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장비 설명 |
- 흄산 농도 측정 및 우라늄 및 플루토늄 산화수 측정하는 장비로 분광광도법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양은 흡광도 이다. 그러나 흡광도를 직접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실제로는 시료 통과 전 . 후의 투광도를 측정하여 흡광도를 얻게 된다. 투광도를 비교 측정하는 방법은 기기의 설계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형식이 가능한데 일반적으로는 홑빛살형(single beam type)과 겹빛살형(double beam type) 등 두가지 방식으로 구분된다. 자외선-가시선 분광 광도계는 기기 분석에 사용되는 기기중에서 그 종류가 가장 다양하다. 따라서 종류마다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을 가지고 있다. 1. 홑빛살형 분광광도계 : 홑빛살 기기의 경우 고려되어야 할 점은 빛의 통로를 차단했을 때 측정계기는 0점을 가르켜야 하고 대조용액에 빛을 통과시킨 후 흡광도는 0점 또는 투광도는 100 %T를 가리켜야 한다. 다음 시료 용액에 빛이 통과하도록 한 후 흡광도 또는 투광도를 읽게 된다. 위의 세가지 단계는 시료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할 때나 측정파장이 다를 때마다 반복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기는 광원과 검출기의 안정도가 매우 높아야 한다. 2. 겹빛살형 분광광도계 : 홑빛살 기기에서의 시간차에 의한 측정오차를 줄이고 보다 측정방법을 다양화 할 수 있게 설계된 것이 겹빛살형 분광광도계이다. 겹빛살형 기기에서는 시료와 대조용액의 투광도를 동시에 비교하기 위하여 광원에서 나오는 빛을 시료쪽과 대조용액으로 동시에 또는 거의 동시에 분배해야 하는데 분배방식에 따라 공간 겹빛살형(double beam in space)과 시간 겹빛살형(double beam in time)의 두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간 겹빛살형에서는 단색화 장치의 출구 슬릿을 통과한 빛이 거울에 의하여 똑같이 이등분되어 각각 시료와 대조용액을 통과한 후 각각의 검출기에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두 개의 검출기가 완전히 동일해야 된다는 난점과 광원의 빛의 세기가 반으로 감소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시간 겹빛살형에서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