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저항측정기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Delsys |
모델명 | Trigno Wire-free System 16ch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11-03-29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G204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근전도기 ElectroMyoGraphy(EMG)는 인체 근육의 움직임을 만들어내는 생체전기신호를 측정 및 검출 하는 장비이다. 1) Patented Parallel-Bar technology guarantees high fidelity signals 2) Multi-Function Design embeds Triaxial Accelerometer in each sensor 3) 16 EMG channels 48 accelerometer channels 바이콘 시스템 등의 동작 분석 장비와 함께 동기화하여 사용이 가능하고 독립적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근전도란 사람의 근육 활동을 직접적으로 반영하여 나타낼 수 있는 중요한 생물학적 신호이다. 근전도는 많은 근육 섬유로부터 나오는 전기적인 신호를 측정하는 것인데 이는 피부에 직접 부착되어 근육이 활동할 때 나오는 전기적 신호를 추출하기 때문에 비교적 정확하다. 근전도는 몇 가지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데 각 근육부위에서 측정한 표면 근전도는 근육의 구조적 특성이 아닌 기능적 이상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선진국에서는 삶의 질 향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스포츠의학 인간공학 전문 임상실험과 같은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최근 근전도를 이용한 저주파치료 침 마사지 온열치료 등의 각종 재활치료 과정에서 근기능이 정상적으로 충분히 회복되었는지를 치료사와 환자가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이고 있다. 오래전부터 산업현장의 근골격계 질환예방을 강조해 온 선진국들의 경우 표면 근전도는 재활 및 통증 클리닉의 필수 장비로 인식되고 있다. 고령화 사회 및 복지 국가로 진입하는 단계에 있는 우리나라에도 의료의 질 향상 장애인 치료 및 보장구 개발을 통한 복지 증대 노인의 일상 생활 보조 편의 장치 개발 등 많은 의료 및 복지 관련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많은 연구와 실험이 대학과 의료기 개발업체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실험 진행 시 현재 흔히 사용되는 유선 형식의 표면 근전도 전극은 선에 의해 행동반경의 제한이 생겨 실험 시 피험자가 큰 불편을 느낀다. 무선 근전도 장비의 사용으로 몸이 불편한 환자 및 노인 대상의 실험에 매우 효과적이며 실험 시간 단축 및 데이터 정확도 향상 등으로 보다 나은 연구 환경을 만들 수 있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104/.thumb/20110429173241.jpg |
장비위치주소 | 강원 원주시 흥업면 매지리 1272 원주의료기기테크노밸리 첨단의료기기테크노타워 |
NFEC 등록번호 | NFEC-2011-04-151698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29169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