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기관명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C720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DMA(Dynamic Mechanical Analyzer) 분석이란 고분자 시편에 진동하는 힘이나 변형을 가하여 탄성율(Modulus)과 에너지 손실 (damping)을 온도나 주파수에 따라 측정하는 분석법을 의미한다. 이러한 측정을 통해 고분자의 물리 화학적 구조를 알 수 있고 또한 기계적인 성질을 예측할 수 있게 한다. 모든 물질은 물과 같은 점성이나 스프링과 같은 탄성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고분자 물질은 특이하게 점성과 탄성을 모두 가지고 있는 점탄성의 거동을 동시에 보여주는 물질이다. DMA는 외부 변화를 주었을 때 회복력 또는 변형율을 측정하여 점성의 성질과 탄성의 성질을 알아내는데 사용한다. 외부의 변화로는 길이 변화인 변위(Strain)를 조절하는 방법과 외부 힘인 응력(Stress)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DMA 측정 시 샘플은 고체의 시편으로 제작되며 시편의 양끝을 Cliping한 후 소프트웨어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진동주파수와 온도범위 승온속도를 설정한 후 실험을 시작한다. 설정된 진동주파수에 의해 샘플에 외부의 힘이 주어지게 되고 이를 통하여 샘플은 변형이 되며 샘플의 변형이 시작되면서 변화되는 Modulus값의 그래프를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미세 스케일의 물성 측정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0807/.thumb/NFEC-2008-07-061136.jpg |
장비위치주소 |
서울 관악구 대학동 서울대학교 산 56-1 서울대학교 39동 (대학원교육연구동) 4층 413 |
NFEC 등록번호 |
NFEC-2008-07-061136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09129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