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세관 전기영동 분석장비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Pricnce Technology |
모델명 | 모델명 없음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12-06-11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삼성전자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B407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전하를 띄고 있는 이온들에 전기장을 걸어주면 각 이온들은 반대전하를 띤 전극으로 이동하는 데 이때 이동속도는 각 이온들의 평균 전하 크기 모양 용매의 성질에 따라 달라진다. Capillary electrophoresis는 이온들이 가느다란 관을 통하여 존재하도록 한 상태에서 관의 양끝에 전기장을 걸어 줄 때 이온들이 관내에서 그들의 성질에 따라 각기 다른 속도로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면서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물질을 분리하는 장치이다.Capillary는 폴리이마이드(Polyimide)로 코팅되어 있는데 이는 용융 실리카 그 자체는 매우 약하고 쉽게 깨지기 때문이다. 폴리이마이드로 코팅을 함으로서 capillary를 유연성 있게 만듦으로 취급하기가 쉽다. 광학적 검출기(Optical Detection: UV UV/Vis fluorescence등)를 사용하는 CE시스템에서는 보호되어 있는 폴리이마이드 코팅을 조금 벗겨냄으로서 검출이 가능하다. Capillary 안의 분리는 Electrophoretic migration과 함께 전기삼투 또는 전기 삼투적 흐름(EOF ; Electroosmotic flow)가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모세관 전기영동의 가장 중요한 현상은 가해진 전기장 안에서의 용액의 흐름으로 표현되는 전기영동이다. EOF는 capillary 내의 액체의 흐름으로 이는 capillary 내벽의 표면전하로 인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capillary 내에 머무르는 시간은 그 용질의 전기적 이동도뿐만 아니라 EOF에도 의존하므로 EOF를 변화시키면 용질의 머무르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다. capillary 내벽 면에 두 층으로 된 용액에(on the solution double-layer at the wall) 전기장을 가함으로 생기는 것이 EOF이다. 수용액에서 대부분의 고체 표면은 과량의 음전하를 띠고 있다. 이것은 표면이 이온화(즉 산-염기 평형 되고) 표면에 이온성 물질이 흡착한 결과이다. EOF는 음이온 형태(SiO-)로 존재 가능한 실란올기(SiOH)에 의해서 주로 조절되지만 용융 실리카의 경우에는 위의 두 가지 과정이 모두 다 일어날 수 있다. 용융 실리카의 정확한 등전점(isoelectric point ; pI)은 결정하기 어려우나 pH 4이상에서는 EOF가 커진다. 테프론과 같은 비이온성 물질도 EOF를 나타내는데 이는 음이온의 흡착으로 인한 결과라고 예측된다. 전하를 중성화시키기 위해서 짝이온(주로 양이온)이 표면 가까이에 모여들면 이중 층(Double-layer)이 형성되고 내벽 근처에서 전위차가 생기는데 이를 Zeta 전위라고 한다. 구성 : 시료주입부분 capillary(separation) 부분검출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음. Wave length : 190 ~ 600 nmMetal complex (redox couple)의 종류와 농도 및 산화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음. 따라서 Redox flow battery의 활물질인 metal complex의 분석에 사용하였음.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401/.thumb/20140110155242716.PNG |
장비위치주소 | 경기 수원시 영통구 매탄동 416번지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연구동 L1 2층 |
NFEC 등록번호 | NFEC-2014-01-184957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44621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