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성자검출시스템
기관명 | ZEUS |
---|---|
장비번호 | |
제작사 | AMPTEK |
모델명 | x 123 CdTe |
장비사양 | |
취득일자 | 2012-12-20 |
취득금액 |
보유기관명 | 동남권원자력의학원 |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A504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중성자를 측정하고자 하는 장소에서는 흔히 감마선이 발생한다. 중성자 검출에 사용되는 중성자 검출기는 중성자에 대한 높은 반응 단면적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감마선에 대한 반응 단면적이 작아야만 한다. 열중성자 검출기로 사용되는 3He 비례계수기는 열중성자 영역에서 중성자에 대한 반응 단면적이 크고 감마선에 대하여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하지만 고속중성자 측정에 많이 사용되는 중성자 탄성산란을 이용한 섬광검출기는 중성자뿐만 아니라 감마선에 대한 반응도가 크다. 따라서 중성자 측정에 사용되는 섬광검출기는 중성자에 대한 큰 산란 단면적을 가지고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감마선과 중성자를 구별할 수 있는 특성을 함께 가지고 있어야 한다. 감마선과 중성자 구별 방법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검출기에서 발생된 펄스 신호의 입사 입자의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다. 검출기에 입사한 입자의 신호 획득용으로 많이 사용되는 것은 펄스의 높이이다. 펄스 높이는 입사한 입자의 종류와는 무관하지만 검출기의 펄스 모양을 이용하여 입사한 입자가 어떤 종류의 입자인지를 구별할 수 있는 검출기와 신호분석시스템이다.Pulse-Shape Analyzer/Timing SCA(Ortec 552) Time-to-Amplitude Converter/SCA (Ortec 567) Liquid Scintillation (EJ-301)가속기에서 발생하는 광대역 중성자 에너지 분포 측정 비행시간법을 이용한 중성자 에너지 측정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301/.thumb/중성자검출시스템.jpg |
장비위치주소 | 부산 기장군 장안읍 좌동리 591 동남권원자력의학원 본관동 지하1층 방사선의학물리연구실 |
NFEC 등록번호 | NFEC-2013-01-173773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6477 |
첨부파일 |
과학기술표준분류 | |
---|---|
ICT 기술분류 | |
주제어 (키워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