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장비 및 시설 기본정보

분취용액체크로마토그래피

장비 개요

기관명, 장비번호, 제작사, 모델명, 장비사양, 취득일자, 취득금액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ZEUS
장비번호
제작사 Ymc
모델명 LC forte/R
장비사양
취득일자 2013-05-14
취득금액

보유기관 및 이용정보

보유기관명,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장비이미지코드, 장비위치주소, NFEC 등록번호,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보유기관명 국립식량과학원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B402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LC-Forte는 일반 HPLC와는 달리 그 자체의 1차 분리 및 정제로 단지 시료를 정성 및 정량을 하는 것 뿐 아니라 2차 분석을 목적으로 순수한 물질로의 분리 및 정제에 그 의미를 부여하는 분석방법임.
즉 예를 들면 고분자 중에 들어 있는 미량 첨가제등의 분석에서 순수 물질의 분리 기능 및 정제효율을 최대한 높여서 2차로 GC/MS NMR FT-IR등과 같은 시료의 정성능력이 뛰어난 분석기기를 잘 응용할 수가 있고 천연물(생약 생화학 농화학 생명공학)등의 연구 분야에서 순수 목적 물질의 인접한 이물질과의 완전 분리와 아울러 순수 물질의 다량 분석에 널리 이용되고 있음.
더불어 LC-Forte는 사용압력에 따라 구분되는 MPLC와 HPLC Mode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분석 방법에 따라 구분되는 Gradient & Isocratic 분석과 Recycle GPC 분석이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천연자원 연구에 효과적인 System임.1. Multiple Preparative HPLC System : 주장비
(1) System Controller 1 set
(2) Solvent Delivery System 1 set
(3) Sample Injection Method 1 set
(4) Fraction Collector 1 set
(5) Variable absorbency 3ch UV Detector 1 set
(6) Auto Recycling System 1 set
2. Sample Analysis Column Series 6 set
3. Chromatography Database System 1 set
- 장비성능
1. 1회 주입량 최대 5g 분리능을 저하시키지 않고 상시 1g을 주입 분석할 수 있고 일 시료 처리량은 자동화 시스템에 의해서 하루 밤에 100g까지 가능하므로 극미량 분석이 가능하다.
2. 천연 성분의 규명을 위하여 NMR 측정 등을 위한 고순도 시료가 필요할 경우 LC Forte는 1회의 시료주입으로 수백mg의 시료 분리 정제가 가능해서 천연자원 내의 극미량 활성물질 검색이 가능하다.
3. 생리활성물질의 완전분리가 곤란한 키랄 화합물이라도 Recycle법과 Gradient법을 이용하여 완전 분리 및 정제할 수 있다. 확실하게 분리 정제함으로서 Bio 분석 평가용의 순수시료를 정제할 수 있다.
4. 분획을 위하여 중저압을 사용하는 MPLC Mode와 고순도 분리/정제/분석을 위한 고압 HPLC Mode를 모두 이용할 수 있고 분석 방법은 Gradient Isocratic Recycle GPC법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식량작물을 이용한 기능성 물질이나 천연물(생약 생화학 농화학 생명공학)등의 연구 분야에서 생리활성물질의 유효성분을 순수분리하고 다량의 시료를 분석하는데 에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장비이미지코드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307/.thumb/20130723103714387.JPG
장비위치주소 경남 밀양시 점필재로 20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밭작물개발과 1층
NFEC 등록번호 NFEC-2013-08-181472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980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