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장비 및 시설 기본정보

기공 측정기

장비 개요

기관명, 장비번호, 제작사, 모델명, 장비사양, 취득일자, 취득금액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ZEUS
장비번호
제작사 Porous Materials Inc(PMI)
모델명 PPA-1500AE
장비사양
취득일자 2010-03-03
취득금액

보유기관 및 이용정보

보유기관명,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장비이미지코드, 장비위치주소, NFEC 등록번호,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보유기관명 한국원자력연구원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F802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capollary flow porometer는 깨끗하고 건조한 압축 공기 또는 비발화성 비부식성 기체을 사용하여 though-pore 를 측정할수 있는 완전 자동 시스템으로서 최대기공 (bubble point) 기공 분포(pore size distribution) 균 기공 크기 (mean pore size) 기체투과도 액체 투과도 Frazier 투과도 hydro-head integrity 등을 측정할수 있다. Through-pore 측정 범위로는 0.013-600um 까지 부직포 필터 품질관리 멤브레인 제지 베터리 세퍼레이터 그리고 세라믹의 기공 사이즈를 측정할수 있다. 기공 분석은 시료에 흘려보내는 공기가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의 특정 부위로만 통과 하도록 외기와 차단되는 챔버를 사용한다. 밀폐된 쳄버 안으로 일정한 압력이 공급되고 시료의 기공을 통과한 공기의 유속을 감지장치로 측정한다. 테스트는 dry test 와 wet test 로 나누어 실시한다. dry test 에서는 건조상태의 여과막 시료를 대상으로 공기압을 서서히 가하여 압력별 여과막을 통과하는 유량을 측정한다. 이값을 근거로 기체 투과도 값을 산출한다. wet test 에서는 표면 장력이 16 dynes/cm 인 galwick 를 사용하여 시료를 완전히 적신 후 압력별 유량을 측정한다. wetting 처리된 여과막 을 대상으로 공기압을 서서히 높여 wttting되어 있는 fluid 가 전량 밀려 나오게 된다. 이때의 압력을 근거로 최소기공크기를 산출한다.
장비이미지코드 http://www.zeu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101/20110114175116.jpg
장비위치주소 한국원자력연구원 본관동
NFEC 등록번호 NFEC-2011-01-133506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http://www.zeus.go.kr/resv/equip/read/Z-NTIS-002194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