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기관명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C600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단열통풍시스템은 SETF의 고온 공기 공급시스템(축열식 가열시스템 외)의 서브 시스템으로 고온 공기 공급시스템은 3.5 MPa 10 kg/s의 공기를 최고 온도 1300 K로 가열하여 60초 동안 시험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공기 혼합시스템은 3.5 MPa 10 kg/s의 상온 공기를 고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아 축열식 가열시스템을 통과한 고온 공기를 혼합하여 엔진 시험부로 공급한다. 축열식 가열시스템은 가열기 가열기에 연소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LNG 버너 고온 기류가 시험부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고온 밸브로 구성된다. 가열기는 고압(3.5 MPa)을 견딜 수 있도록 내압용기(SA-516 70 재질 높이 6.3 m 직경 1.26 m 두께 28 mm)로 제작되었다. 가열기 내부에는 버너의 연소가스로부터 공급된 열을 축적하기 위한 축열재(Super Alumina 재질 높이 4.4 m 직경 0.8 m 기공률 19 %) 축열재의 열로부터 가열기의 외피를 보호하기 위한 단열재(2가지 재질로 구성 내부 : High Alumina 외부 : Vacuum formed ceramic fiber)가 장착된다. 가열기 최하층에는 축열재와 단열재의 적층물을 지지하기 위한 타공판(STS316 재질 두께 40 mm)을 배치하였다. 축열재의 사양은 시험 시간 동안 소요되는 필요 열량을 산출하여 이를 모사하는데 필요한 축열재 밀도 사양(높이 직경 기공률)을 계산하여 결정되었다. 축열식 가열시스템의 출구에는 고온밸브가 장착된다. 고온 밸브는 축열재 가열시 고온 기류가 시험부 및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플러그 타입 밸브로 외부는 탄소강으로 제작되었으며 내부에는 인코넬 재질로 라이너를 장착하였다. 이외에도 축열재 상부만을 가열하기 위한 재가열 바이패스 냉각기가 축열식 가열시스템의 부대설비로 장착된다. 축열식 가열시스템의 온도는 축열재 하부 타공판 축열재 높이 기준 1/4 1/2 3/4 위치의 K타입 열전대와 축열재 최상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Pyrometer로 관측된다. 또한 비상시를 대비하여 축열재 최상부에서의 외피 온도도 측정하도록 되어있다. 하부 타공판의 온도는 설비 제어 시스템과 연결되어 523 K(250 ℃)에 도달할 경우 LNG 버너의 연소 작업을 종료하도록 설정되어있다. 엔진시험부로 공급되는 전온도는 엔진의 시험 조건에 따라서 유동적이다. 따라서 가열시스템에서 시험부로 공급되는 고온 기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동일 압력의 상온 기류와의 혼합을 통하여 시험부로 공급되는 기류의 전온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 공기 혼합시스템은 엔진 시험부로 공급되는 공기의 전온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축열식 가열시스템의 고온 밸브를 통과한 고온 기류는 공기 혼합시스템의 중앙 배관을 통하여 분출된다. 고압공기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상온 유동은 중앙 배관의 반경 방향으로 연결되어있는 8개의 지관을 거쳐 유입되어 중앙의 고온 기류와 혼합된다. 공기 혼합시스템은 압력을 견디기 위한 외피는 탄소강재(A106 Gr B)로 제작되었으며 내부에는 축열식 가열시스템으로부터 공급되는 온도를 견디기 위하여 인코넬 601 재질로 라이너를 두었다. 이 때 라이너는 열로 인한 팽창에 대비하여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 제작하였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209/.thumb/20120926150925.JPG |
장비위치주소 |
대전 유성구 어은동 4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시험1동 1층 H-121호 |
NFEC 등록번호 |
NFEC-2012-09-170721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35083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