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장비 및 시설 기본정보

다광자 공초점 레이저 현미경

장비 개요

기관명, 장비번호, 제작사, 모델명, 장비사양, 취득일자, 취득금액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ZEUS
장비번호
제작사 Olympus
모델명 FV1000MPE
장비사양
취득일자 2010-07-27
취득금액

보유기관 및 이용정보

보유기관명,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표준분류명, 시설장비 설명, 장비이미지코드, 장비위치주소, NFEC 등록번호,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보유기관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보유기관코드
활용범위
활용상태
표준코드 A202
표준분류명 시험
시설장비 설명 공초점 현미경이라고 번역되는 confocal microscope 는 원래 세포 구조 연구 목적으로개발되었으나 일반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 (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의 단점을 보완하고 있기 때문에 최근 들어 반도체 부품 및 재료의 3차원 미세구조 관측 및 세포의 구조와 분화 및 세포를 눈으로 확인 가능한 목적으로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신경세포 시료를 물리적으로 절단하지 않고 시료의 단면 및 3차원 영상을 얻을 수 있는 기술에 사용되는 장비이며 빛을 투과하여 세포 내부의 영상을 얻을 수 있고 레이져 빛이 투과하지 못하는 세포라 하더라도 세포의 표면의 거칠기와 깊이를 관찰 할 수 있다. 공초점현미경은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이라고 불리우며 해상력이 좋고 scanning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오늘날 생물학분야의 연구에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scanning mirror를 이용하여 laser beam을 specimen에 scanning하고 laser에 의해 발광된 형광 또는 반사광선(reflected primary beam)을 이용하여 영상을 관찰한다. 광원으로 사용되는 레이져는 argon ion laser(488 nm와 514 nm 파장을 가짐)와 krypton-argon ion laser(488 568 647 nm의 파장을 가짐)가 있으며 이들이 제공하는 파장의 범위 내에서 여러 종류의 형광을 이용함으로써 fluorescein rhodamine 등의 형광이 부착된 세포내구조물을 관찰할 수 있다. 공초점현미경(confocal microscope)은 광학현미경기법과 전자현미경기법이 지니는 단점을 보완하는 동시에 이들이 갖지 못한 여러 가지 장점까지 보유하고 있는 현재까지 개발된 가장 우수한 현미경이라고 말할 수 있다. 기존의 광학현미경에 비해 초점심도가 낮기 때문에 (0.5 - 1.5 um) 초점을 벗어난 영상을 제거할 수 있어 선명하고 감도(sensitivity)높은 영상을 얻을 수 있다. 세포내의 생명현상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장비이므로 따라서 생물학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기존의 현미경으로는 연구할 수 없었던 생명현상을 연구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의 강력한 연구 수단을 제공하고 있다.
장비이미지코드 http://www.zeu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712/20160922142241_20110222000000108839 NFEC-2011-02-144766.jpg
장비위치주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산학연협력연구동(L7)
NFEC 등록번호 NFEC-2011-02-144766
예약방법
카타로그 URL
메뉴얼 URL
원문 URL http://www.zeus.go.kr/resv/equip/read/Z-NTIS-002880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