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기관명 |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산학협력단 |
보유기관코드 |
|
활용범위 |
|
활용상태 |
|
표준코드 |
C603 |
표준분류명 |
|
시설장비 설명 |
식품에 열을 가하면 먼저 표면에서 증발이 일어나며 이때 고체내부와 표면의 수증기 분압에 차이가 생긴다. 이때 수분은 수증기 분압이 높은 내부로부터 분압이 낮은 외부로 확산하여 이것을 보충한다. 표면의 증발량과 내부확산량이 같고 단위시간당의 건조량도 거의 일정한 상태일 때 수분의 증발이 균일하게 이루어진다. 건조가 진행되면서 내부확산은 감소되어 증발속도도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수분증발을 일으키는 것을 건조기라 한다. 수분을 증발시키는 데는 주로 열풍을 사용하는데 적외선이나 고주파를 사용하는 건조기도 있다. 석회나 비료의 건조에 사용하는 회전건조기 목재․벽돌 등의 건조에 사용하는 터널건조기 양모․점토 등에 사용하는 상자형 건조기 주로 수분의 끓는 온도를 낮게 하여 건조 중 화학적 변화를 감소시킨 진공건조기 보크사이트 등의 건조에 사용하는 분쇄건조기 산성백토․염화칼슘 등을 사용하여 기체의 건조에 이용하는 흡수제건조기 분말 우유나 커피 등을 만들 때에 사용하는 분무식건조기 등이 있다. 또한 초단파를 이용한 건조기와 동결건조기(freeze drier) 등이 있다.호퍼 아토마이져(Max. 15000 rpm) 원액이송펌프(Max43kg/Hrs.) 더플댐퍼 제습기 열교환기 송풍기 배풍기 루츠브로워로 구성이 되어있고 흡습성이 크거나 점성이 있는 제품의 경우 회수율이 낮아 질 수 있다.. 액체 또는 페이스트 모양의 재료를 액적 분무기(液滴噴霧器)에 의해서 그림과 같이 열풍 속에 분무하여 30~50㎛ 정도의 건조(中空球狀이 많다)를 얻는 방식이다. 건조 시간은 수 초~30초 정도로 급속하기 때문에 열에 민감한 식품이나 약품의 건조에 적합하다. |
장비이미지코드 |
http://nfec.ntis.go.kr/storage/images/equip/photo/201110/.thumb/20111012114308.jpg |
장비위치주소 |
충청북도 충주시 충원대로 268 (단월동) 바이오식의약연구센터 시험생산동 1층 |
NFEC 등록번호 |
NFEC-2010-12-118439 |
예약방법 |
|
카타로그 URL |
|
메뉴얼 URL |
|
원문 URL |
http://www.zeus.go.kr/equip/read?equipId=Z-NTIS-0019270 |
첨부파일 |
|